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기
실례
견본
예제
사례
예시
용례
d라이브러리
"
예
"(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향후에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모든 과일을 맛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예
를 들어 단맛을 선호하거나 신맛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 맛을 가진 맞춤과일을 골라 먹을 수 있게 된다.또한 인터넷을 이용한 과일의 판매방식이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데, 비파괴 생체 계측기술은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셰퍼드에 의해 명명된 남캘리포니아 앞바다나 일본 동북쪽 앞바다의 해저가 그 전형적인
예
이다남캘리포니아 앞바다에는 많은 해분(海盆)과 섬 · 뱅크(bank)가 북서~남동방향으로 늘어서 있고 그 바깥쪽에 대륙사면이 있다 지구의 각 대륙이 오랜 지질시대에 대규모로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위치가 ... ...
2 말하고 생각하는 능력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침팬지게놈 연구가 시작됐다. 한편 미국도 지난 2002년 5월 침팬지의 게놈 연구를 위한
예
산을 확정하고 본격적인 염기해독 작업을 준비하고 있다.이제 침팬지게놈연구는 인간게놈프로젝트 이후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국제공동 프로젝트다. 앞으로 밝혀질 침팬지게놈의 정보는 ... ...
2 힘세고 오래가는 에너지 활용비법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보급중인 LED 신호등의 경우는 반도체 광원에 의한 에너지절약의
예
를 직접 보여준다. 기존의 백열전구를 사용한 신호등의 경우는 소비전력이 1백W나 되지만 LED 반도체 광원을 사용한 경우는 15W만이 소비된다. 절전율이 무려 80%가 넘는 것으로 입증된 것이다. 그러나 일반 ... ...
인간의 협력관계 설명하는 물리학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없어보이는 다른 분야의 상전이 현상과 똑같은 양태를 보인다는데 주목한다. 그 한
예
가 사스와 같은 전염병이 퍼져나가는 현상이다. 전염병은 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전파확률에 따라 계속 퍼져나가든지, 아니면 어느 순간에 사라지는 흡수 상전이 현상을 보인다. 공공 재화 ... ...
생명체 복잡성 실체는 항공망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모르기 때문이다.바다표범-남방대구 네트워크는 생태계의 엄청난 복잡성을 보여주는 한
예
에 지나지 않는다. 물론 이밖에도 복잡계에 대한 우리의 무지로 인해 재앙을 자초할지 모르는 사례는 얼마든지 있다. 지질학의 역사를 뒤돌아볼 때 최소 다섯번 정도의 대규모 재앙이라 일컬을 만한 사건들이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VLA다. 이보다 더 높은 분해능을 얻기 위한 방법이 초장기선 전파간섭계(VLBI)다. 대표적인
예
는 미국 본토, 하와이, 버진아일랜드에 위치한 지름 15m 전파망원경 10대를 연결한 VLBA와 유럽 대륙에 흩어져 있는 18대의 전파망원경을 연결한 EVN이다. 더 나아가 일본의 인공위성 HALCA와 미국 VLBA, 유럽 EVN을 ... ...
우리가 잘 모르는 보석 이야기 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경도가 어떤 물질보다 높다는 뜻이다. 경도가 높은 물질은 낮은 물질에 흠을 낼 수 있다.
예
를 들어 다이아몬드 커터는 유리뿐만 아니라 쇠에도 금을 그을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날카로운 칼이나 송곳으로도 다이아몬드에는 흠집 하나 낼 수 없다. 그렇다면 도대체 다이아몬드는 어떻게 ... ...
보이는 것이 모두 진짜는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강한 빛을 비추면 글씨가 잘 보인다.연속적인 움직임에 의한 착시현상의 가장 대표적인
예
가 애니메이션이다. 애니메이션은 정지된 여러개 영상을 빠른 속도로 잇따라 재생해 마치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밝은 물체를 보고 난 후에는 잠깐 동안 그 모양이 망막에 잔상으로 남는데, 이를 ... ...
생명공학이 주무르는 맛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가치를 매길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울러 생명체에게 매우 중요한 식별 능력을 제공한다.
예
를 들어 단맛을 감지하는 수용체는 혀에 닿는 물질의 당도를 통해 높은 칼로리의 식품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쓴맛의 수용체를 통한 신호는 그 물질이 위험한지를 결정짓는 신호를 우리의 뇌로 보내준다. ... ...
이전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