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개를 위한 예술?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반려견 록키가 갤러리에 갈 때마다 무척 즐거워했어요. 저는 즐거움보다 딜러가 과대 평가한 작품에만 신경을 쓰고 있었는데 말이죠. 궁금했습니다. (예술을 즐기는) 록키의 비결이 뭔지.”지난 해 3월, 미술사를 전공한 미국의 평론가 제시카 도슨 박사는 예술영화를 유통하는 업체 ‘크라이테리 ... ...
- [Career] “수학, 미래 암호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방을 보면 그 사람의 취향이나 관심사를 알 수 있다.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은 철지난 음반이나 악기 모형을 장식해 놓고, 야구를 좋아하는 사람은 응원하는 팀의 마스코트나 유명 선수의 사인이 적힌 야구공을 두기도 한다.햇살이 따스하게 쏟아지던 6월에 만난 윤아람 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X는 누구일까. 내가 X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민정과 똑같은 이름, 나이, 본적, 그리고 주민등록상에 남아 있는 오래된 사진 뿐. X는 어떻게 생긴 사람일까. 도대체 지금은 어디에 있는 걸까. 진원은 민정의 방에서 발견한 신원불상의 DNA를 분석하면 얼굴을 추정해낼 수 있을 거라고 했다. X의 얼굴이 ... ...
- Part 1. 우리 집 불청객, 바퀴벌레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대나 아열대 지방에서 사는 곤충인데, 교통수단과 무역의 발달로 전세계에 퍼졌다. 우리나라에는 약 10종류가 있다. 이 중 산바퀴(Blattella nipponica)와 경도바퀴(Asiablatta kyotensis)는 주로 야외에서 산다. 그래서 집 안에서 발견되더라도 먹이를 찾아 우연히 들어온 것이므로, 번식할까봐 크게 걱정하지 ... ...
- 나 혼자 산다 쌍곡 평면 편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방금 우리가 탄 차가 쌍곡 평면에 접어 들었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이 동네는 우리가 사는 동네와 무척 달라. 친구 집 까지 가는 동안 들어 봐.지구는 동그란 구에 가깝고 우리는 구의 표면에 살고 있잖아? 평평한 땅 위에서 직선을 따라 걸을 수 있고, 운동장에 납작한 정삼각형을 크게 그릴 수 있지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가 교과서와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학교 공부가 더욱 재밌어질 거예요! “나는 이제 죽음의 신,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도다.”역사상 최초의 핵실험이 성공한 뒤, 물리학자 로버 ... ...
- [가상인터뷰] 물 없는 육지로 올라와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안녕~! 나는 어과동의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요즘 푸푸와 바다로 생태 탐사를 나가고 있어. 그런데 얼마 전 신기한 물고기를 발견했어! 밀물 때마다 바위로 펄쩍 뛰어올라 오랜 시간을 보내더라고! 물고기가 물 없는 육지로 올라와 살다니!도대체 이유가 뭘까? 당장 그 이유를 알아봐야겠어!안 ... ...
- [과학뉴스] 뇌가 크면 외국어를 잘한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머리가 크면 머리가 좋다’는 속설과 달리 머리 크기와 지능은 별다른 관련이 없다. 하지만 뇌의 크기와 언어 학습 능력 사이에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이창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경교세포연구단장과 류인균, 김지은 이화여대 뇌·인지과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뇌에 ... ...
- [Future] ‘작은 것’들의 반란 나노카 레이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삐삐삐삐-. 드디어 경주용 자동차들이 출발합니다!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에서 참가한 여섯 팀 중 어떤 팀의 자동차가 1위를 차지하게 될까요. 아~! 말씀드린 순간 미국과 오스트리아 연합 나노프릭스팀의 자동차가 시속 34.5nm의 속도로 재빠르게 달리기 시작합니다! 2017 나노카 레이스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사고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의 활성을 낮추고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활성은 높여서 일의 추진력도 높입니다.소위 ‘근자감’이라고 부르는 근거 없는 자신감도 갖는 게 좋습니다. 뇌에 있는 긍정적인 회로를 활성화해 공부에 도움이 되거든요. 반대로 실망감, 패배감은 억제성 신경계를 활성화해 ... ...
이전5975985996006016026036046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