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찾아하지만 완벽한 해독제는 없다. 피리도스티그민도 아세틸콜린분해효소의 작용을 30%
정도
막기 때문에 메스꺼움을 느끼고 설사를 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옥심의 경우, 신경가스인 소만이 들어오면 효력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옥심이 소만과 결합하고 있는 효소를 잡아끌면 소만이 그 손을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사상의 지평선)에는 1057바이트의 정보가 저장된다고 주장한다(정확히는 비트지만 이
정도
빅데이터에서는 차이가 없다).블랙홀이 비현실적이라면 일상적인 물질과 에너지 속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모든 데이터의 양을 계산해 보자. 양자컴퓨터의 기본 단위가 되는 입자(양자)의 양을 계산한 뒤 ... ...
해상 풍력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많다.바다 위를 날아다니는 조류가 풍력발전기에 부딪칠 수도 있고 높이가 100m나 될
정도
로 워낙 높다 보니 철새의 이동방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해저 케이블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장과 저주파 소음으로 근처에 살고 있는 동식물이 스트레스를 받거나서식지를 떠날 수도 있다. ... ...
상아탑서 잠자는 기술, 돈버는 기술로 깨운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반도체 소자 발광다이오드(LED). LCD TV화면의 광원으로 각광받으면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
로 대중화됐다.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건축물에는 어김없이 LED 조명시스템이 활용된다.LED 쓰임새가 늘어나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제조 장비 개발도 중요해졌다. LED 제조 공정에서 꼭 필요한 것은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담기 위해선 모래알보다 더 촘촘한 그물을 써야 한다. 하물며 모래알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
로 작은 분자나 전자를 담으려면 얼마나 세밀한 그물을 써야 할까. 이를 미래에너지인 태양전지나 연료전지에 대입해보자. 모래알은 전자, 그물은 전극을 오가며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자를 담는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전 세계에 충격을 가져왔다. 엄청난 인명 손실뿐만 아니라 이를 방지하지 못했던 안전 규
정도
주목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바다에서 사고가 났을 때 인명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1914년 해상인명안전협약이 체결됐다. 이 협약은 이후 몇 차례의 개정을 거쳐 지금까지 적용되고 있다.한편 타이타닉의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주장한 이 다이아몬드 행성은 뱀자리에서 약 4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지구보다 5배
정도
큰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주기적으로 전파나 엑스선을 방출하는 중성자별을 발견하고 그 별을 관찰하다가 주변을 맴도는 다이아몬드 행성을 찾았다고 설명했다. 이 다이아몬드 행성은 별이 줄어들다가 ... ...
[과학뉴스] 우리나라도 달 탐사 나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밝혀낼 거랍니다.루너 임팩터에는 내년부터 우주선을 발사할 2016년까지 4년간 563억 원
정도
가 쓰여요. 우리나라는 초소형 위성 개발과 위성이 실릴 우주선 일부 제작을, 미국은 우리나라가 맡은 부분을 제외한 우주선 제작 전체와 발사를 맡을 예정이에요 ... ...
수학으로 변신! 패션왕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보고 있나? 한때 패션테러리스트라고 불렸던 이 형돈이가 패션프로그램에 이어 패션쇼 MC까지 맡게 됐다고. 하하하~! 수학의 도움을 받아 때 빼고 광도 ... 이용해서 멋지게 코디했어요. 긴 허리는 감추고 짧은 다리는 길어 보이게 하고요. 이
정도
면 패션테러리스트에서 탈출한 거 맞지요 ... ...
달콤함이 가득, 달달공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40분의 1도 안 되는 크기지만 우리가 하루에 사용하는 포도당의 50% 이상을 뇌가 사용할
정도
야. 또 설탕 같은 단 음식을 먹으면 뇌에서 오피오이드계통의 신경전달물질이 나와. 이 물질은 기분을 좋게 만들고 통증을 가라앉게 만들지. 결국 뇌가 좋아하는 달콤한 당분이 기분을 좋게 만들어 주는 거야 ... ...
이전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