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변신! 패션왕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보고 있나? 한때 패션테러리스트라고 불렸던 이 형돈이가 패션프로그램에 이어 패션쇼 MC까지 맡게 됐다고. 하하하~! 수학의 도움을 받아 때 빼고 광도 ... 이용해서 멋지게 코디했어요. 긴 허리는 감추고 짧은 다리는 길어 보이게 하고요. 이
정도
면 패션테러리스트에서 탈출한 거 맞지요 ... ...
Part1. 독, 잔혹한 욕망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비소가 환원되어 수소화비소가 만들어지는 것을 이용한 방법이다. 마시 시험법은 0.7㎍
정도
의 미량 비소도 검출할 수 있어 비소를 이용한 살인사건에서 약삭빠르게 빠져나가려고 한 살인자들을 검거하는 일등공신이 되었다.이후에도 법의학의 발전은 인체에 해로운 각종 독성 물질을 검출하는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사상의 지평선)에는 1057바이트의 정보가 저장된다고 주장한다(정확히는 비트지만 이
정도
빅데이터에서는 차이가 없다).블랙홀이 비현실적이라면 일상적인 물질과 에너지 속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모든 데이터의 양을 계산해 보자. 양자컴퓨터의 기본 단위가 되는 입자(양자)의 양을 계산한 뒤 ... ...
해상 풍력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많다.바다 위를 날아다니는 조류가 풍력발전기에 부딪칠 수도 있고 높이가 100m나 될
정도
로 워낙 높다 보니 철새의 이동방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해저 케이블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장과 저주파 소음으로 근처에 살고 있는 동식물이 스트레스를 받거나서식지를 떠날 수도 있다.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담기 위해선 모래알보다 더 촘촘한 그물을 써야 한다. 하물며 모래알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
로 작은 분자나 전자를 담으려면 얼마나 세밀한 그물을 써야 할까. 이를 미래에너지인 태양전지나 연료전지에 대입해보자. 모래알은 전자, 그물은 전극을 오가며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자를 담는 ... ...
실험실에 지구의 과학을 담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지구의 평균 기온은 수천~수십 만 년
정도
의 주기로 오르내린다. 빙하기가 있는가 하면 열대 기후에 가까운 시기도 있었다. 하지만 최근의 기온 상승은 대체로 인류의 경제 활동에 의한 것이다. 다시 말해, 화석 연료를 쓰면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진 것이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라는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전 세계에 충격을 가져왔다. 엄청난 인명 손실뿐만 아니라 이를 방지하지 못했던 안전 규
정도
주목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바다에서 사고가 났을 때 인명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1914년 해상인명안전협약이 체결됐다. 이 협약은 이후 몇 차례의 개정을 거쳐 지금까지 적용되고 있다.한편 타이타닉의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마이크로파다. 빅뱅의 흔적인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할 수 있는 영역이다. 우주가 4000℃
정도
로 식으면서 나온 빛이 오늘날 마이크로파로 변한 게 우주배경복사다. 이 빛의 분포를 관측하면 별도 태어나지 않은 초기 우주의 모습을 연구할 수 있다. 2010년 7월에는 임무 시작 이후 처음으로 전체 하늘의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해상도는 1mm수준, 7T MRI의 해상도는 0.3mm로 이
정도
해상도면 모세혈관까지 낱낱이 드러날
정도
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아직 기능이나 소프트웨어 등 많은 분야가 ‘최적화’ 되지 않은 상황이다. 3T MRI는 많은 연구가 이어져 대중화가 됐다고 볼 수 있지만 7T MRI는 전 세계적으로 약 40여대, ... ...
상아탑서 잠자는 기술, 돈버는 기술로 깨운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반도체 소자 발광다이오드(LED). LCD TV화면의 광원으로 각광받으면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
로 대중화됐다.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건축물에는 어김없이 LED 조명시스템이 활용된다.LED 쓰임새가 늘어나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제조 장비 개발도 중요해졌다. LED 제조 공정에서 꼭 필요한 것은 ... ...
이전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