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조선왕조실록’이 확인해 줄 것이라고 믿고 17세기 초에 해당하는 왕들의 실록을 읽기 시작하였다. 조선왕조는 서운관(書雲觀)이 관측한 천문 이상 현상, 그리고 각 지방관들이 올려 보낸 이상 현상들을 ‘실록’에 충실하게 남겼다. 중국에도 실록이 있었지만 충실도에서 조선에 미치지 못했다. ... ...
- 엔지니어의 이유 있는 자부심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없이 서울대 재료공학부 유상임 교수님 연구실에 지원해 눈물겨운(?) 대학원 생활을 시작했다. 박사과정 졸업 직전인 요즘 지금껏 진행된 많은 연구내용을 정리하면서 지나간 대학원 생활을 하나씩 돌이켜 보는 시간을 보내고 있다.아침 9시부터 밤 10시 정도까지 짧게는 5년, 길게는 7년을 거치는 ... ...
- 수원청개구리와 술래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수원청개구리가 살고 있다고 조사됐지만 2010년에는 이곳에 미군부대를 세우는 공사가 시작됐어. 결국 2011년부터 이 지역에서 나를 찾기 어려워졌단다.나와 내 친구들이 모두 사라지기 전에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수원청개구리 탐사대가 되어 날 꼭 찾아 주길 바라. 친구들을 기다리며 ... ...
- 무역의 수학적 이유, 비교우위수학동아 l2012년 08호
- 있으므로 휴대전화만을 만들고, D국은 자동차에 비교우위가 있으므로 자동차만을 만들기 시작했다.C국은 휴대전화를 만드는 데 14시간을 들여 휴대전화 2.33단위를 만들었고, D국은 19시간을 들여 자동차 2.1단위를 만들었다. 이때 C국과 D국이 휴대전화와 자동차 한 단위씩을 바꾼다면 C국은 휴대전화 0 ... ...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요동친 이유다. 두 개의 작은 기둥이 모래 폭풍에서 만들어지는 공기의 흐름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그래야 나중에 인간이 화성에 올 때 모래 폭풍을 견딜 수 있는 우주복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악착같이 버틸 것이다. 안타깝지만 스피릿처럼 되진 않을 것이다. 나는 현존 최고 우주탐사 로봇 ...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제각기 다르다.”러시아 작가 레프 톨스토이의 소설 ‘안나 카레니나’는 위의 문장으로 시작한다. 다이아몬드 교수는 이 문장을 패러디해 “가축화할 수 있는 동물은 모두 엇비슷하고 가축화할수 없는 동물은 가축화할 수 없는 이유가 제각기 다르다”고 말한다. 즉 말과 소, 양, 염소, 돼지 같은 ... ...
- 우리 동네 매미 내가 연구합니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매미는 수컷. 장재연씨는 곤충 전문가답게 매미의 생김새에 대해 조목조목 설명하기 시작했다.“수컷은 배 쪽에 공명통이 있고 그 안에 진동막, 발음근, 공기주머니로 소리를 내요. 반면 암컷은 그 안에 알을 가득 품고 있고요. 수컷의 생식기는 배의 끝부분에 있는데 종마다 다른 모양이랍니다. 참, ... ...
- 말랑말랑 젤리 방탄복 나온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미국의 섬유기업 뒤퐁에서 1972년 ‘케블라’라 부르는 질기고 강한 실을 개발하면서부터 시작됐다. 방탄조끼하면 나오는 바로 그 케블라다! 케블라는 같은 무게의 강철보다 약 5배 정도 더 튼튼하다. 케블라로 짠 천을 손으로 만져보면 얇긴 하지만 쌀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닐 부대자루처럼 ... ...
- 벨기에 와플 제대로 먹는 법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알려진 건 벨기에 사람인 모리스 베르머쉬가 1964년 뉴욕 세계박람회에서 와플을 팔기 시작하면서부터다.와플을 만드는 재료는 간단하다. 밀가루와 달걀, 우유, 효모, 설탕, 바닐라가 주재료다. 가정에서도 쉽게 만들어 먹을 수 있다. 시중에서 파는 와플은 초콜릿이나 딸기 향을 첨가하기도 한다. ... ...
- 수학·과학 외 영역도 챙기자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정해야 하지. 그리고 3년 후에는 전공을 정해야 해. 중학교 2학년이면 진지하게 고민을 시작할 때가 됐어. 너무 걱정하지 마. 여기 상담하러 온 것 자체가 이미 상위 5%에 해당하는 자세야. 선생님은 S학생의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생각해.” “네. 더 고민할께요.” “책은 많이 읽니?” “아…. 별로요. ... ...
이전5996006016026036046056066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