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관광도 식후경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보관할 수 있는 영양 공급원으로서 김치는 매력적이다. 오랜 외국 생활 중에도 김치를
직접
담가 먹으며 향수를 달래는 게 한국인의 일반적인 정서다. 한국인이 가는 곳에는 언제나 김치가 뒤따른다. 2007년이면 한국인이 우주에 간다. 김치도 우주에 따라갈 수 있을까?특명, ‘김치 맛을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사장과 이 교수 모두 리투아니아, 호주, 독일, 미국 등 세계 여러 나라 홀로그램 전문가를
직접
찾아다니며 기술을 익혔다고.홀로그램은 한번 찍어두면 시간이 지나도 ‘빛바랜 사진’이 되지 않는다. 반영구적 보존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뿐만 아니라 일반 사진은 필름이 조금만 손상되면 다시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즉 서로 다른 거리에 존재하는 두 대상물의 크기를 비교할 때, 각각의 대상물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존재하는 주위 배경과 비교해 판단한다.또다른 예로 그림자에 의한 형태 인식과정이 있다. 원 위에서 빛이 비치고 있다면 원을 볼록한 형태로, 반대로 밑에서 비치고 있다면 오목한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것이다. 지난 4월 ‘과학의 달’ 강연차 내한 한 거스 매클라우드를 항우연에서 만나
직접
얘기를 들어봤다.고지가 얼마 남지 않았다. 800km만 더 가면 남극점이다. 이제 서너 시간 후면 경비행기로는 세계 최초로 남극점을 정복하게 된다. 꼬박 10시간 넘게 쉬지 않고 날아왔다. 서서히 몸 안에 뜨거운 ... ...
그림자 마왕 '네가 머래도 다비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작은 부분들을 꼼꼼히 관찰해 보면 정답을 찾아 낼 수 있다. 세 번째 문제의 답 자기가
직접
손으로 모양을 만들어 보자. 정답은 다음 그림과 같다. 네 번째 문제의 답빛의 직진에 관한 문제. 그림자의 크기는 물체의 크기와 위치, 촛불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다음의 그림과 같이 ❶번 ... ...
"빨대로 무거운 책을 지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과학 수업이 진행될 것 같습니다. 이미 담당 선생님뿐 아니라 교장 선생님까지
직접
한국로봇교육연구원에서 연수를 받았다고 하니 학생들의 창의력을 높이기 위한 열정이 정말 대단하죠?이렇듯 과학 교육과 창의성 교육에 힘을 쏟고 있는 예일초등학교에서 21세기를 빛낼 미래의 뛰어난 과학자들이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하늘에 떠 있는 별이라고 해서 영원히 빛나는 것은 아닙니다. 태어나서 죽는 일생을 가지고 있답니다. 별이 마지막 단계에서 폭발하여 밝게 빛나는 것을 초신성이라고 합니다. 초신성이 폭발할 때 지구에서 보면 갑자기 매우 밝은 새 별이 나타난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로는 새로 태어난 것이 아니 ... ...
고온 통증 느끼는 피부 단백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로만 여겨져 왔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피부가 외부 통증을
직접
감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는 사실이 규명된 것.황 교수는 “TRPV3이 온도뿐 아니라 염증으로 인한 통증도 담당한다”며 “캠퍼를 이용해 좀더 효과적인 진통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이번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감자를 쥐에 먹인 결과 쥐에서 항체가 생긴 것을 확인했다. 위험한 치매 단백질은 몸에
직접
주사하기 어려워 먹는 백신이 주사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현재 한국에서는 포항공대 벤처 제노마인이 자궁경부암을 대상으로 먹는 백신을 연구하고 있다. 생명연 곽상수 박사는 돼지설사병을 막는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운영에 필요한 전력을 감당할 수 없어 일주일에 한번씩 상당량의 자동차용 충전지를
직접
날라야 한다. 게다가 안정된 연구 조건이 아직 확보되지 못한 상태다. 필자를 포함한 우리 연구팀은 이런 어려움 속에도 최소한 5년 이상 대관령관측소를 운영해 우리나라 숲의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을 ... ...
이전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