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뉴스
"
형태
"(으)로 총 6,44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달 탐사선, 왜 가야 하나요?"
과학동아
l
2014.06.16
원소이고요. 단, 메탄은 방귀의 주성분인 만큼 생명체가 존재하더라도 지구와는 다른
형태
일 겁니다." 행성과 위성에 대한 우주 이야기는 수준이 무척 높았지만, 참석자는 중학생부터 대학생, 성인까지 다양했다. 한 대학생 독자가 "메탄은 영하 160도에서 액화된다. 이는 아미노산이 ... ...
1000년 뒤엔 ‘플라스틱 돌멩이’가 지질학 증거?
과학동아
l
2014.06.15
주변 물질들과 뭉쳐 만들어진 것이다. 연구팀은 이 새로운
형태
의 암석이 단단한
형태
를 유지하면서 오랜 세월에 거쳐 퇴적될 가능성이 높아 인류세를 가늠하는 척도로 활용할 수 있을 거라고 미국 지질학회에서 발간하는 ‘지에스에이(GSA) 투데이’ 6월호를 통해 주장했다. 연구를 이끈 ... ...
[이주의 과학신간] 센세이션 外
과학동아
l
2014.06.15
마땅치 않다”고 주장한다. 최근 로봇 시스템의 발전을 고려하면 이보다 훨씬 진화한
형태
의 새로운 ‘로봇 윤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스스로 도덕적 결정을 내리는 컴퓨터 시스템을 가리켜 ‘인공적 도덕 행위자(Artificial Moral Agent·AMA)’라고 부르며 AMA라는 개념 하에서 로봇 ... ...
전자피부에서 접는 디스플레이까지
과학동아
l
2014.06.13
매년 100억 원을 집중 투자하고 있다. 조 단장은 “기존의 전자기기를 소프트한
형태
로 바꾸고 신체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면 완전히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이라며 “몇 년 안에 소프트혁명의 초기 결과물을 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안전하고 유연한 생체연료전지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2
기구 개발이 한결 수월해진다는 것. 날실방향에 50μm 지름의 전극으로 제작된 직물
형태
의 생체연료전지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특히 전해질 분리막이 필요 없고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지된 심장에 인위적인 자극을 주는 페이스메이커나 신경자극기와 같은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의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필수원소라고 주장했다. 기저막(basement membranes)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한
형태
로, 상피조직의 세포 사이에 존재하며 구조를 유지하고 세포간 신호전달에 관여한다. 다세포생물이 진화할 때 식물세포는 세포벽을 만드는 쪽으로 진화하면서 마치 벽돌을 쌓듯이 세포들이 모여 하나의 ... ...
헉! 원통형이라던 탄소나노튜브가 나선형이라니
과학동아
l
2014.06.09
알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 탄소나노튜브는 그래핀이 지그재그
형태
로 자라면서 나선
형태
가 된다. - KIST 제공 나선형 구조의 탄소나노튜브는 전도성 물질이며, 구조에 결함이 없을 경우 반도체적인 성질을 가질 수 없다는 사실 역시 새롭게 밝혀졌다. 기존 연구에서 탄소나노튜브가 반도체적인 ... ...
마요라나 입자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4.06.08
있는 입자는 중성미자다. 설명하기 어렵지만, 중성미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며 3가지
형태
로 바뀌는 이상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중성미자가 마요라나 페르미온인지, 아니면 디랙 페르미온인지 그 정체를 구분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중성미자가 없는 이중베타붕괴’ 현상에 주목했다. ... ...
[이주의 과학신간] 못된 건축 外
과학동아
l
2014.06.08
때문이다. 게다가 트윈트리타워는 거리를 활기차게 만드는 역할을 하며 대지의
형태
에 맞게 자신의 몸을 구부리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도시의 건축물이 도시적이지 않아 ‘못된 건축’이 된 사례도 책에 소개했다. 해나무 제공 ◆바이올리니스트의 엄지 -사랑과 전쟁과 천재성에 관한 DNA ... ...
엘리베이터 안에서도 끊김없이 통화한다
과학동아
l
2014.06.05
송수신기가 전자기파를 받아들인 뒤 전자기파의 일종이자 금속 흡수가 어려운 소멸파
형태
로 바꿔 반대편으로 보낸다. 그러면 바깥쪽에 부착된 송수신기는 이 소멸파를 다시 원래의 전자기파로 바꿔 방출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방식으로 70%의 전력 효율을 얻는데 성공했으며 데이터의 경우 5 ... ...
이전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