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박
복부
범선
돛단배
선
용기
기량
d라이브러리
"
배
"(으)로 총 8,483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있는 암세포 생생한 영상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건조된 시료만을 사용할 수 있으나, X선 현미경은 살아있는 상태에서 고
배
율 생체세포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암세포를 살아있는 상태에서 검사할 수 있는 연구가 현재 진행중이다. 특히 결맞음성을 이용하면 X선 홀로그래피가 가능해 3차원 X선 생체세포 영상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 ...
킥보드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상당히 적다. 같은 재질과 바닥 조건에서 구름 마찰력이 운동 마찰력보다 무려 1백 - 1천
배
정도 적다고 한다. 때문에 바퀴가 달려있는 기구를 이용하면 적은 에너지로도 쉽게 멀리 갈 수 있어서 여러 종류의 운송수단이 바퀴를 달고 있지 않은가.위급상황에서 잘 멈추지 않는 이유그러나 이같은 ... ...
씨 없는 수박을 보기 힘든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의해서 실현됐다. 처음 냄새 없는 마늘이 일본 시장에 나왔을 때, 가격이 일반 마늘의 5-10
배
나 됐음에도 폭발적으로 판매됐으며 전세계를 석권하는 것은 시간문제로 보였다. 그러나 현재 냄새 없는 마늘이 냄새나는 마늘을 쫓아냈다는 말은 없다.그 이유는 가격이 비싼 점도 있지만 사람들이 오히려 ... ...
무선 통신망의 정보전송량 6
배
늘리는 방법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전파까지 받을 수 있게돼 전송량이 두
배
더 늘어난다. 따라서 안테나가 하나 일 때보다 6
배
의 정보량이 전달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넓은 주파수 대역폭 없이도 값싸게 휴대폰으로 e메일이나 인터넷 접속과 같은 풍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고 네이처는 밝혔다 ... ...
미르의 사고일지와 태평양 수장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뒤따라가 미르의 크반트 모듈에 도킹한다. 무인화물선 프로그레스의 기존여행보다 두
배
나 더 긴 이 기간은 미르에 공급할 연료를 아끼기 위한 목적으로 계획됐다. 이렇게 프로그레스는 미르의 궤도수정과 폐기에 필요한 연료를 마지막으로 공급한다.만일 미르의 주컴퓨터 고장 등의 문제가 ... ...
에어울프 현실화될 날 멀지 않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8백4km/시까지도 가능하다. 더욱이 자이로플레인은 기존 헬리콥터보다 적은 비용으로 2
배
나 먼 거리를 비행할 수 있다.헬리콥터 비행의 핵심은 로터에 달린 큰 프로펠러 날개다. 그러나 이 프로펠러는 회전이 빨라질수록 항력을 크게 발생시켜 비행속도를 높이는데 제한요소가 된다. 이것을 Mu-1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속도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현미경 수준에서 유체흐름 조절이슬방울보다 수천
배
나 부피가 작은 액체를 다루는 분야인 ‘마이크로유체공학’이 생명공학의 새로운 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자동화된 실험기기나 진단키트 등을 소형으로 만들려면 현미경 수준에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되는 것 같다. 도체의 모습을 띠었다가 다발로 있을 때는 반도체로 되고, 십자 모양으로
배
열해 트랜지스터를 만들고 이제는 디스플레이의 전자총으로까지 쓰니 왜 안그렇겠는가. 또 그의 미소 뒤에는 그의 연구가 현실화된다는 기쁨의 의미도 숨어있다. 탄소나노튜브 반도체가 2010년경이 돼야 그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박차고 나온 데는 뭔가 계기가 있지 않았을까. 이에 대해 정명준 사장은 유학시절에 보고
배
운 선진국의 농촌에 대한 기억을 말한다.“덴마크 왕립공대에서 발효학 박사 학위를 준비하면서 유럽의 농촌을 수없이 돌아다녔습니다. 세계에 자랑할만한 변변한 산업 시설 하나 없는 덴마크가 농업의 ... ...
한국인 위장의 불청객 헬리코박터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직접 감염시켜 연구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결국 1982년 그의 동료였던 마샬이 세균을
배
양하는데 성공했다. 강산인 위 내부에도 세균이 산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다. 이 균은 처음에는 켐필로박터균(식중독균) 종류로 불렸는데, 1988년에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라는 정식 명칭을 얻었다 ... ...
이전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