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6. 세타파 개발하면 누구나 초능력자 될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따라 질과
양
이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우리 모두가 갖고 있는 마음에너지의
양
은 마치 원자력의 에너지같이 무한한 힘을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무한한 에너지를 평생 사용하면서 우리는 삶을 영위해간다. 보통사람들은 마음에너지를 안정되게 사용하지만 초능력자들은 이 마음의 ... ...
폐기물 재생기술은 새분야로 발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움직임들도 있다. 에너지 사용 기관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다
양
한 형태의 에너지 사용 체제를 적절히 변화시켜 전체적인 사용 효율을 높이려는 시도다. 여기에는 기존의 기구들을 개량하여 에너지 절약형 상품을 개발하는 회사를 비롯하여 에너지 사용체제를 정비해주는 ... ...
신형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출고를 승인했다.사고 수술 출생시의 장애로 인해 눈에 흉터가 생겼거나 눈모
양
이 이상해진 사람들을 위한 특수 콘택트렌즈도 제작되고 있다. 아울러 선천성 색소결핍증 환자의 눈과 광민감성 환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해 특별히 색을 넣은 콘택트렌즈도 개발중이다.국제콘택트렌즈연구소 대표 ... ...
기초부터 다시 시작하는 PC교실① 286 386 486의 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이를 속도가 두배씩 차이나는 것으로 이해한다면 잘못이다.모든
양
적인 차이가 그렇듯
양
적인 차이는 질적인 차이로 변화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아무리 유인원이 교육을 받아서 그 능력을 최대로 발휘한다고 해도 절대로 인간의 모든 것을 흉내낼 수 없듯이 8비트 컴퓨터로서는 도저히 16비트 ... ...
4. 이상뇌파로 질병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셋째 뇌파검사만으로 뇌의 병변이 종
양
인지 농
양
인지 또는
양
성인지 악성인지 등을 예측할 수는 없다. 넷째로 뇌파가 간질을 진단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될 수 없다. 다시 말해 여러 임상소견 등을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 ...
불황타개책 「홈컴퓨터」 쏟아져 나와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없었던 대목이다.홈컴퓨터의 출현에서 보여지듯이 국내 사용자들의 컴퓨터 활용단계는 '
양
'에서 '질'로 전환하고 있다. 또 사용자층도 '전문가'에서 '젊은 식자층'으로, 다시 '일반소비자'로 확산되고 있다. 컴퓨터업체들은 일시적인 불황타개책으로서가 아니라 장기적인 시장환경의 변화에 걸맞는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오는 성분이 훨씬 강하므로 볼만한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이때는 ${R}_{64}$ 필터가 상당한
양
의 빛을 흡수하므로 노출시간은 필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와 비교해서 2~4배 증가시켜 주어야 한다. 특히 대구경 장초점의 망원경을 사용하면 자택에서 박진감 넘치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컬러의 경우에도 ... ...
초고속 미생물 검출법 개발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수 있다. 또한 미생물이 통과하는 막필터는 아주 미세한 격자로 이루어져 있어 미생물의
양
을 체크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이 기술은 식품의 미생물 오염을 검출해내는데 쓰일뿐만 아니라 물의 순도가 중요시 되는 반도체 공장에서 제조용수의 품질관리를 하는데도 활용될 수 있다 ...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반복된다는 것이 밀란코비치이론의 첫번째 내용이다. 동시에 그는 지구 회전축이 태
양
의 궤도면과 이루는 최소각도인 21˚39에서 최대각도인 24˚36'으로 변하는 주기가 2만5백년임을 밝혀냈다.지구 공전궤도에서의 타원이심률이 가장 크고 지구 자전축의 각도가 가장 작은 상태에 이를 때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붙어 있는 시험관에 넣었다. 일주일후 시험관 유리에는 자철광 결정이 붙어 있었다. 작은
양
이긴 하지만 실험에 사용된 7사람의 뇌조직 모두 자철광을 갖고 있었다. 인간의 뇌를 보면 대체로 조직 1g당 5백만개의 자철광 결정이 있다. 뇌를 감싸고 있는 질긴 막에는 1g당 1백만개의 결정이 있다. ... ...
이전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