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등급
과정
경로
등위
서열
스텝
뉴스
"
단계
"(으)로 총 6,721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내가 만든 게임을 즐기자!
수학동아
l
2015.10.13
3점을 얻은 뒤 출구에 도달하면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가도록 설정해 게임을 완성했다. 2
단계
부터는 각자 창의력을 발휘해 자기만의 게임을 만들었다. 벽을 배열해 미로 같은 길을 만든 학생, 거미를 늘려서 난이도를 높이는 학생도 있었고, 점수를 올리기 어렵게 다이아몬드를 외진 곳에 배치한 ... ...
레이저 쪼였더니 녹슨 금속이 원래대로 말짱
2015.10.12
구리 이온이 전자를 받아 구리로 환원된 것이다. 나노 재활용 공정 개략도(a)와 각 공정
단계
의 실제 사진(b). 순수한 구리 나노와이어 필름(①). 공기 중 산소에 의해 산화된 산화구리 나노와이어 필름(②). 환원제에 적신 산화구리 나노와이어 필름에 집광된 레이저 빔의 모습(③). 광열화학반응에 ... ...
“초파리 허물 벗는 데는 ‘뉴런’이 중요”
2015.10.12
자세한 원리는 밝혀지지 않았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초파리의 탈피행동이
단계
별로 일어나는 것에 대해 새로운 이론을 제시한 결과”라고 말했다. 탈피는 초파리 같은 곤충은 물론 절지동물의 대부분에서 나타나는 본능 행동이다. 만일 탈피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동물은 살아남지 ... ...
1.6% 차이가 인간-침팬지 운명 갈랐다
2015.10.11
많다. 한국생물공학회장을 지낸 저자는 바이오산업이 바로 우리 눈앞에 와 있고 실용화
단계
를 거쳐 스마트폰처럼 우리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한다. 무엇보다 이 책은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스토리로 엮여있다. 예를 들어 역분화 줄기세포를 설명할 때는 잘려도 다시 ... ...
코끼리 도토는 정말 정준하를 기억했을까
2015.10.09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사람이 어릴 때 일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것처럼 뇌가 발달하는
단계
에 있는 도토가 3개월 전의 만남을 정말 기억하는지는 미지수”라면서도 “여러 번 반복되는 일이나 특별히 감성을 자극한 사건이라면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사육사가 막대기를 들고 ... ...
강아지에게도 새생명을 준 2015 노벨 생리의학상
2015.10.06
부위에 기생하는 만큼 치료하는 것보다는 예방이 최고입니다. 성충이 되기 전에 유충
단계
에서 없애버리는 거지요. 바로 ‘구충제’를 이용해서 말이에요. 개들에게 쉽게 감염되는 심장사상충을 예방할 수 있는 약, 하트가드. 주 성분은 2015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물질인 이버멕틴이다. - (주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캠벨은 상사에게 인간 기생충을 구제하는 약물을 개발하고 싶다는 메모를 전했고 몇
단계
를 거쳐 당시 연구소 소장이던 로이 바겔로스(Roy Vagelos)의 수중에 들어갔다. 바겔로스는 캠벨에게 직접 연구를 진행하라고 지시했다. 1979년 회사의 연구개발심사위원회에서 캠벨은 이버멕틴이 회선사상충증 ... ...
[신나는 공부]"강의보단 코칭이죠"
동아일보
l
2015.10.06
훈련시키는 과외형 수업으로 변신하는 것. 어려운 문제도 스스로 풀어낼 수 있도록
단계
별로 힌트를 주면서 일종의 ‘코칭’을 하는 방식이 선호된다. 2시간여의 수업이 끝나자 학생들은 오늘 무엇을 공부했는지, 어떤 부분이 부족했는지, 다음 수업 때까지의 어떤 학습계획을 세워 어떻게 실천할지 ... ...
[2015 노벨 생리의학상, 왜 그들이 받았나]年 2억 명에게 희망, ‘기적의 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5.10.05
기생충에 감염된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말라리아 발병 초기
단계
부터 기생충을 빠르게 박멸해 말라리아 예방약으로 대표되는 아르테미시닌은 치명적인 말라리아를 막는 전례 없는 효능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 전 인류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아버멕틴과 아르테미시닌 ... ...
뱀은 다리 만드는 유전자를 갖고 있을까, 없을까
2015.10.04
‘디벨롭멘탈 셀(Developmental Cell)’ 1일 자를 통해 밝혔다. 연구팀은 뱀의 태아 발생
단계
중 다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면밀히 관찰했다. 그 결과 실험용 쥐와 도마뱀 모두 다리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많은 수의 ‘증폭자(enhancer)’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증폭자란 DNA 위에는 있지만 ... ...
이전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