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뉴스
"
볼
"(으)로 총 6,949건 검색되었습니다.
[Health&Beauty]약해진 봄 피부에 부드러운 손길을
동아일보
l
2015.02.11
얼굴 전체에 문지른 뒤 씻어낸다. 모공이 깨끗해지고, 피부가 맑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야외나들이로 자외선에 노출되었다거나 피부가 칙칙해 보일 때는 녹차 팩이 좋다. 세안 뒤 스킨과 로션을 발라준 뒤 차가운 녹차티백이나 녹차찌꺼기를 10∼15분 정도 얹어뒀다가 떼어낸다. 피부에 수분이 ... ...
“설맞아 화성과 금성이 만난다”
과학동아천문대
l
2015.02.10
관측이 가능하다. 금성은 -3.95등급, 화성은 1.26등급으로 매우 밝아 도시에서도 맨눈으로
볼
수 있다. 해가 진 뒤 서쪽 하늘을 보면 화성과 금성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서울 용산에 위치한 과학동아천문대의 설 연휴 특별프로그램에서는 화성과 금성 등 천체에 대한 강연이 펼쳐진다. 강연 후 화성과 ...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
과학동아
l
2015.02.10
찾는 방법으로 잘 알려져 있지요. 유투브에서 dowsing으로 검색하면 강좌 동영상도 여럿
볼
수 있습니다. 이걸 하는 사람은 흔히 L자 모양의 막대를 양손에 쥐고 걸어다닙니다. 막대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데, 걷다가 두 막대가 교차하는 지점이 있으면 그 아래에 수맥이 있다는 식입니다. ●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편평해 지구 전체가 일정한 수심으로 물에 덮인다면 3km 가까이 헤엄쳐 올라가야 하늘을
볼
수 있다. 지구야말로 수성(水星)인 셈이다. ● 수소동위원소비율 훨씬 높아 로제타가 찍은 혜성 67P의 모습으로 먼지와 가스가 분출되고 있다. 로제타는 장착된 질량분석기로 67P에서 나오는 코마에 포함된 ... ...
“의사가 되려면 ‘차가운 시선’도 갖춰야”
2015.02.08
트램펄린 위에 놓인 무거운 쇠구슬로 설명하는 등 기발한 예를 책 곳곳에서 살펴
볼
수 있다. 이밖에 뉴턴부터 도플러, 캐번디시, 갈릴레오, 케플러 등 유명한 과학자들의 이야기가 함께 실렸다. ... ...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2015.02.08
확립된 지 40여 년이나 지난 후였다. 대응원리가 옳다면 양자역학에서도 카오스를
볼
수 있어야 한다. 카오스라는 새로운 현상이 발견된 직후, 당연히 물리학자들은 ‘양자카오스’를 생각했다. 카오스는 일반대중에게 나비효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북경에서 나비가 날개를 펄럭이는 것 때문에 ... ...
발렌타인데이의 주인공 '초콜릿'의 상식 6가지
2015.02.06
4. 마리화나 성분이 들어있다. wikimedia 제공 초콜릿에는 대마초나 마리화나에서
볼
수 있는 '카나비노이드(Cannabinoid)'라는 성분이 포함돼 있다. 초콜릿을 먹으면 세라토닌 같은 신경전달물질이 더 많이 분비되면서 기분을 좋게 한다. 이 때문에 초콜릿은 일시적으로 우울증 같은 기분을 ... ...
인터넷 100배 빨라지고 뇌 혈관 손금처럼 본다
2015.02.05
안내를 하던 연구원은 “화질 저하, 노이즈 등의 문제점 없이 편안하게 입체영상을
볼
수 있는 게 장점”이라고 말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오랜 기간 연구해 온 뇌자도 기술을 한층 발전시킨 ‘뇌파자기공명’ 기술을 선보였다. 뇌파가 만드는 미세한 생체 자기장을 이용해 서로 떨어진 뇌 ... ...
30년간 이론에만 존재하던 양자컴퓨터 소재 드디어 개발
2015.02.02
초전도체 전극 사이에 끼워 넣고 전류를 흘려 준 결과 초단간극 탄도성 조셉슨접합으로
볼
수 있는 전류 특성이 나타났다. 온도에 따라 초전도 현상을 유지하는 임계전류값이 변하는 특성 등 이론적으로 예측했던 소재의 물리적인 특성과 동일하게 나타난 것이다. 이후종 교수는 “이 소재를 ... ...
[중력파 검출 파문] 빅뱅 증거 찾았다더니 다시보니 ‘우주먼지’
2015.02.02
이번 논문에서는 데이터를 재차 검증한 결과 중력파의 명확한 증거를 찾았다고
볼
수 없다고 결론짓고 있다. 이종필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BK 사업단 교수는 “유럽우주기구 측은 관측위성을 이용해 더 다양한 파장의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할 수 있었기 때문에 지적이 가능했을 것”이라며 ... ...
이전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