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528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숫자로 정리하는 수학자대회
2014.08.22
대회에서 강연을 진행한 한국인 수학자 수다. 황준묵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는 한국인
최초
로 기조강연에 나섰으며, 강석진·이기암·하승열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와 김범식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 김병한 연세대 수학과 교수 등 5명이 초청강연자로 강단에 올랐다. IMU가 세계적인 업적을 낸 ... ...
유리 투명전극을 LED에?
2014.08.20
김 교수는 “최근 개발된 유리 투명전극을 실제 LED에 적용해 우수성을 입증한
최초
사례”라며 “LED뿐 아니라 태양전지 등 다양한 광전소자의 효율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 ...
옷 위에도, 종이 위에도, 나노 구조물이 딱!
2014.08.19
가는 나노미터 크기의 초소형 구조물을 옷이나 종이 위에 붙일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
로 개발했다. 이석재 KAIST 부설 나노종합기술원 박사팀은 니콜라스 코토브 미국 미시간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나노 구조물을 다양한 표면에 붙이는 데 성공하고 이 연구결과를 재료 분야의 권위지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무척 싼) 철산화물에 다른 금속산화물을 소량 섞은 촉매조성을 발견했다. 1913년 9월 9일
최초
의 암모니아 공장에서 매일 3~5t의 암모니아가 생산되기 시작하면서 인류는 새로운 시대를 맞았다. 암모니아의 주용도는 물론 질소 비료다. 질소는 생체를 이루는 주요 분자인 단백질과 핵산의 ... ...
“필즈상 ‘40세 나이제한’ 철폐 검토 하겠다”
2014.08.15
15일 강연하고 있다. 아발라는 ‘북미와 유럽, 일본 이외의 나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최초
의 필즈상 수상자’이다. 우리나라가 정상급 수학강국으로 거듭나려면 아빌라 연구원처럼 국내에서 공부해 학위를 받고 필즈상까지 받는 인제가 나와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 전승민 기자 한편 박 ... ...
[채널A] ‘수학계 노벨상’ 필즈상, 첫 여성 수상자 탄생
채널A
l
2014.08.14
5천 명이 모인 가운데 수학계 노벨상에 버금가는 ‘필즈상’ 수상자도 발표됐는데요.
최초
의 여성 수상자에게 한국의 첫 여성 대통령이 시상하는 진풍경이 벌어졌습니다. 이영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20개국 5000명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수학자대회. 대회의 꽃인 필즈상의 영예는 ... ...
금녀의 벽 허물고, 변방에서 결실 맺고
수학동아
l
2014.08.14
강남구 영동대로 코엑스에서 개막한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서울 ICM)’에서 여성
최초
로 필즈상을 받은 마리암 미르자카니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37)는 남성이 주도한 수학 분야에서 금녀의 벽을 허물었다는 사실에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이란 출신의 미국 수학자인 그는 이슬람권 여성 수학자 ... ...
‘수학계 올림픽’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막 올랐다
2014.08.13
고등연구원 명예교수가 받았다. 각 상은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수여해 ICM 역사상
최초
의 여성 시상자가 됐다. 개막식 전반을 진행한 잉그리드 도브시 국제수학연맹(IMU) 회장도 여성이라는 점에서 미르자카니 교수가 상을 받은 장면에서는 여성 3명이 ICM 무대에 서는 역사적인 장면이 연출됐다. ... ...
오늘부터 한국에 ‘우주인’은 없다
2014.08.12
제공 대한민국
최초
이자 유일한 우주인인 이소연 박사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결국 공식 퇴직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휴직상태였던 이소연 박사가 7월 21일 제출한 퇴직서를 12일 수리해 퇴직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 박사가 민간인 신분이 되면서 정부가 공식적으로 활용할 수 ... ...
사카린은 설탕을 대신할 수 있을까
2014.08.11
설탕물에서 보상회로 활성화돼 맛이 음식에 대한 정보의 전부가 아님을 보여주는
최초
의 분명한 실험결과는 2008년 학술지 ‘뉴런’에 발표됐다. 미국 듀크대 연구자들은 단맛 수용체 유전자가 고장나 단맛을 느끼지 못하는 생쥐를 대상으로 흥미로운 행동실험을 했다. 이런 쥐들은 정상 쥐들과는 ... ...
이전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