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각 브릭 조각은 ‘변수’, 각 조각을 어디에 어떻게 끼울지 분석하는 것은 ‘관계’,
결과
로 완성된 호텔은 ‘구조’라고 설명했다.브릭과 수학은 ‘변수↔관계↔구조’ 단계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공통점이다. 다시 말해 정해진 브릭으로 호텔을 만들었다가 다시 브릭 조각으로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이 검사로 결막염이라고 진단받은 사람이 실제로 결막염 환자일 확률은 99/100이다. 진단
결과
는 비교적 믿을 만하다. 메르스 진단이 어려운 이유그렇다면 민감도와 특이도가 모두 99%인 진단 방법으로 걸릴 확률이 십만 분의 일쯤 되는 희귀병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을까? 민감도와 특이도가 99%인 ... ...
감정은 마음먹기에 달렸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되뇌게 했다. 다른 집단은 반대로 ‘나 지금 좀 신난 것 같아’라고 생각하게 했다. 실험
결과
긴장감을 신난다고 평가한 사람이 훨씬 자신감에 차서 끈기 있게 임무를 수행했다. 성적도 좋았다. 혼잣말로 ‘신난다!’라고 중얼거리거나 그렇다고 생각해 보는 것만으로도 긴장을 이겨낼 수 있다는 ... ...
너도 금사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스포츠 좋아하고 외향적이고 성실하고 자존감 높은 사람이 인기가 많아. 실제 연구
결과
도 그렇고. 근데 여자는…. 더 이상 말하지 않겠다.” 소녀가 새침하게 눈을 흘기네요. 달콤하게 아옹다옹 하는 걸 보니 소년과 소녀는 정말 찰떡 궁합입니다.아 참, 김 대리와 알바생은 어떻게 됐냐고요? 소년과 ... ...
수백 년 도자기 묵은때 화학으로 벗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따라 재복원할 준비가 돼 있다는 뜻입니다. 언제든 새로운 연구
결과
가 나오면 기존
결과
를 기꺼이 수정하겠다는 과학자의 자세와 아주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공동기획 : ... ...
“ 해상 안전의 첫 걸음은 바다를 이해하는 것”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그렇고 산업 규모도 크고요. 아주 다양한 분야의 학문이 모두 조화롭게 이뤄져야 하나의
결과
를 낼 수 있는 복합적인 구조물이죠. 그렇기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몇 년에 걸쳐 작업을 진행해요. 같은 나라 사람이면 그나마 수월하지만 다른 나라 사람과 함께 일하는 경우도 많죠. 그 과정에서 갈등을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2012년 9월 단백질을 못 만드는 쓰레기 DNA라고 할지라도 80% 가량은 전사가 된다는 연구
결과
가 30여 개 학술지에 연달아 발표되면서 과학자들의 생각이 바뀌었다. 쓰레기 DNA가 정말 필요 없는 것이라면 굳이 전사를 할 필요가 없다. 현재는 간섭 RNA(siRNA) 등이 발견되면서 RNA가 DNA와 단백질의 중간자 역할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일 때와 그 상황을 상상할 때 각각 편도체의 활성화 여부를 측정해 비교했다. 그
결과
불쾌한 감정을 상상했을 때에도 편도체는 실제 경험과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전조 장면만으로도 관객에게 충분히 공포의 감정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뜻이다.공포의 목소리, 비결은 음색무서운 장면을 살리는 ... ...
Epilogue. 쿡방 열풍, 어떻게 받아들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하는 20대 여성 500명을 대상으로 요리 프로그램 시청 여부와 몸무게 차이를 비교했다. 그
결과
요리 프로그램을 즐겨보는 여성들의 평균 몸무게는 74.54kg으로, 즐겨 보지 않는 여성들의 평균 몸무게 69.41kg보다 높았다. 연구팀은 방송에 나오는 음식이 실제로는 칼로리가 높더라도 시청자들에게는 ... ...
피구왕 통키의 불꽃슛?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넘나들어 태양풍이 지구 자기권에 닿았을 때 어떻게 변하는지 측정할 수 있다. 측정
결과
켈빈-헬름홀츠파는 마치 불꽃처럼 독특한 톱니 모양을 하고 있었다. 연구팀은 “관측시간의 20% 정도는 켈빈-헬름홀츠파가 관측됐다”며 “태양풍과 지구의 상호작용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복잡한 형태를 ... ...
이전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