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나라의 북동지방인 함경북도 웅기(雄基) 근처의 패총(貝塚) 밑에서 구석기시대 문화층이
발견
되었는데, 여기에서 출토된 외날찍개 · 쌍날찍개 같은 석영암(石英岩) 석기는 한쪽 또는 양쪽이 날카롭게 만들어진 나이프형의 것이며 만든 솜씨도 상당히 진전된 것이고 구석기시대 중에서도 전기(前期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태양과 비슷한 별이 적색거성을 거쳐 준 왜성(subdwarf)이 되는 과정에서 살아남은 행성을
발견
했다고 ‘네이처’ 9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지구에서 4500광년 떨어져 있는 ‘페가수스자리 V391’이란 별을 돌고 있는 이 행성은 목성보다 3배가량 무거운 가스행성으로 밝혀졌다.흥미롭게도 이 행성은 V391이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행복을 느낄 때 뇌의 대뇌피질 중 좌측 앞부분, 즉 왼쪽 전두엽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그런데 이 부분의 활성화는 개인 기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평소 많이 우는 아이는 이 부분의 활동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개월 된 아기들의 외향성을 조사한 뒤 11살이 됐을 때 다시 조사한 결과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그에게 잠시 연구에서 벗어나 세상을 바라보게 해 주는 나무 그늘과도 같다. 과학적
발견
을 이끄는 창조성과 상상력은 바로 이 여유에서 나온다.“제 몸에서는 뜨거운 생물학자의 피가 흐르고 있나봅니다. 다시 한 번 생물학과 음악 사이에서 선택을 한다고 해도 공부를 할 겁니다. 그리고 음악도 ... ...
한겨울에 곤충 보러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전시할 예정이래. 나비의 날개를 자세히 관찰하다 비늘이 아주 촘촘하게 붙어 있는 걸
발견
했어. 이게 바로 나비의 날개에 숨어 있는 비밀이지! 비늘은 나비의 날개가 물에 젖지 않도록 해 준대. 실제로 나비의 날개에 물방울을 떨어뜨려 보면 물방울이 흡수되지 않고 또르르르~ 굴러가. 즉 나비는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교수는“나무의 나이테로는 수천 년 전의 계절 변화를 짐작할 수 있고, 호수와 습지에서
발견
한 꽃가루화석, 빙하코어로는 수십만 년 전의 기후까지 복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해저퇴적물의 경우 수백만 년 전의 기록을 담고 있을 만큼 ‘기억력’이 좋다.안교수는“과거의 기후 정보를 얻기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개발됐다. 펠티에 효과란 1834년에 프랑스의 과학자 장 샤를 아타나스 펠티에가
발견
한 현상으로 다른 도체 두 개를 붙여 만든 회로에 직류전류를 흘리면 한쪽 도체는 가열되는 반면 다른 한쪽은 냉각되는 현상이다. 칩 뒷면에 펠티에효과가 나타나는 실리콘과 금속으로 이뤄진 전극을 붙여 전류를 ... ...
노벨문학상 수상자 암 치료한 차가버섯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소나무잔나비버섯은 현재 포스텍에서 약용 물질을
발견
해 그 물질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밝히고 있는 중이다. 다년생버섯에 왜 약용 성분이 많을까. 나무와 함께 오래 살다 보니 나무의 리그닌이나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면서 버섯 자체에 항암 작용을 하는 기능성 ... ...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장을 실은 덕에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그 사진이 부인 안나의 손 X선 사진이었다. 전자를
발견
한 조세프 톰슨은 이를 두고 “뢴트겐은 외과의사에게 X선을 알려줘 인류의 고통을 줄이는 데 가장 크게 공헌한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뢴트겐이 부인의 속을 봤듯, 현대 의사도 환자의 속을 보기 ... ...
영화 스파이더위크가의 비밀을 통해 바라본 보호색과 위장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주인공이 ‘돌멩이 렌즈’라는 특수렌즈로 세상을 보면 숨어있던 요정과 몬스터를
발견
할 수 있는 것처럼.세상을 지금과는 다른 눈으로 바라보라. 그러면 영화에서처럼 주변에 숨어있던 요정을 만날 수도 있지 않을까 ... ...
이전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