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속력
템포
스피드
박자
리듬
빠르기
진전속도
d라이브러리
"
속도
"(으)로 총 7,180건 검색되었습니다.
(3) 팩스/모뎀카드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선을 보이기 시작했다. V.42 V.42bis 모뎀은 2천4백bps 모뎀에서 시리얼 통신시 9천6백bps의
속도
를 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통신비용 절감에 유리하다. 아직까지는 6대4 정도의 비율로 V.22 지원 모뎀이 팔리고 있지만 내년부터는 판매 비율이 역전될 것이라고 한다.모뎀은 대개 6개월 단위로 가격인하가 ... ...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먹고 증식하게 된다. 물론 물속에는 물고기도 있고 수초도 있으나 미생물의 증식
속도
가 상대적으로 훨씬 빠르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하면 미생물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보통상태에서 산소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10ppm 정도)가 다 소모돼 산소가 부족하게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나이 1백조년?구체적인 내용을 예시해 보자. 대폭발이론에서 중력을 통한 섭동의 성장
속도
는 대학생 정도의 물리지식을 가지면 누구나 쉽게 계산할 수 있다. 간단한 계산에 따르면 우주나이 10여만년 때의 통계적 물질섭동이 10만분의 6정도인 경우 그들이 현재의 은하로 자라려면 최소한 적어도 ... ...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자기 부상 열차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기존 바퀴식 고속전철(TGV 신칸센 ICE 등)이 안전성을 바탕으로
속도
나 성능면에서 계속 '기록경신'을 해나가고 있어 자기부상식이 아직 실질적인 상용화의 첫 관문을 통과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80년대 말부터 본격 논의 우리나라에서 자기부상열차에 관해 본격적인 논의가 ... ...
(1) 한글카드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경우 1천24×7백68 해상도에 2백56컬러를 지원한다. 비디오 램의 용량이 클수록 그래픽 처리
속도
가 빨라지며 표현 가능한 색상도 많아진다.셋째는 소프트웨어와의 호환성 여부를 반드시 살펴봐야 한다. 비디오 보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의 수가 제한되어 있다면 아무리 뛰어난 ... ...
맨틀과 핵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가정했다. 버섯모양으로 솟아나오는 초대형 용암기둥들은 액체외핵의 움직임
속도
에 따라 더 많이 나타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구다이나모의 힘에 변화를 줄 수 있다.생명체들이 붙어서 살고있는 지표라는 깨지기 쉬운 층 밑엔 정말 연구해볼 가치가 있는 지구의 심장부에 해당하는 맨틀과 핵이 ... ...
'파이어니어'와의 안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모의실험을 이용해 워싱턴주립대학의 매튜 뉴먼과 콘웨이 리오비는 최근 금성의 자전
속도
가 2백43일 임에도 불구하고 그 위에서 금성의 대기를 4일에 한번씩 회전하고 있는 강풍을 연구했다. 밀도높은 대기 위에 쏟아지는 태양열의 방사가 결국은 열의 조류현상을 낳고 이것이 바람을 불러일으키는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기능성의약품 환경정화제품을 만들 때 효소가 이용되는 등 그 활용범위가 급
속도
로 넓어지고 있다.효소는 현대산업이 요구하는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무엇보다 효소는 값싼 천연자원을 이용해 고부가가치의 초정밀화학물질을 저렴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효소반응은 일반화학반응과 ... ...
21세기 교통신호시스템 무인운전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종합 교통관리시스템 중 첨단 교통신호제어시스템과 고
속도
로관제시스템은 국내에서 개발이 진행중이나 자동안내시스템은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개발에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정작 필요할 때는 고가로 외국의 것을 수입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길이를 따라 세포로 달리는 1백50㎛ 정도의 거대신경섬유가 인간보다 1백배 이상 빠른
속도
로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석회질의 집을 만들어 그 속에 사는 우산 석회관갯지렁이류(Hydroides, 사진8)는 아가미관 줄기의 일부가 변해서 만들어진 아래 위 이중마개까지 가지고 있다. 이는 ... ...
이전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