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뉴스
"
가운데
"(으)로 총 8,015건 검색되었습니다.
[융합이 미래다] ① 석학도 못푼 과제… 젊은 과학자들 ‘융합연구’로 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5
있는 이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왼쪽)과 김기현 포스텍 창의IT융합공학과 교수(
가운데
). 전승민 기자. 실용화가 빠른 것도 융합연구의 특징이다. 아모레퍼시픽은 항암 환자를 위해 유분 함량을 높인 전용 화장품 개발에 착수했다. 스위스 신약 개발사 ‘리젠시 헬스케어’는 ‘우리가 ... ...
의학실험때 세포 성별 무시하면 ‘큰 코’… 남녀간 약 효과-부작용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5.25
위한 의생명 분야 연구혁신’ 포럼을 열었다. 참석자들은 “개인 맞춤 의학이 화두인
가운데
23쌍의 염색체 중 하나가 통째로 다른 성별 간 차이도 당연히 고려해야 한다”며 “실험동물과 세포의 성별을 제대로 감안한 실험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학, 생명과학 연구자들이 성별에 주목하게 ... ...
"이젠 식사 때마다 '미생물 먹이'도 챙겨 드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8.05.23
미생물 분석 데이터를 연구용으로 공개했는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상위 10개 종
가운데
절반(5종)이 아직 분리, 배양조차 못할 만큼 연구가 안 돼 있다. 그는 최근 성인 2000명의 똥을 수집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똥 시료를 제공해주면 무료로 장내 미생물 정보 컨설팅을 해준다. ... ...
'음이온 발상지' 일본 음이온 비판가, "건강효과 밝혀진 적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5.22
그렇게 믿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기쿠치 교수는 “음이온 관련 설명
가운데
유일하게 근거가 있는 것은 양전하를 띤 대기 중 미세먼지를 음이온이 중화시켜 서로 뭉치게 해서 제거하는 것뿐”이라며 “하지만 이것은 (일각의 주장처럼) 직접적인 건강 효과와는 거리가 멀다”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농작물에 뿌리는 살생물제에 대한 말말말!
동아사이언스
l
2018.05.19
이런 상황을 묘사한다. 우리가 먹어야할 곡물이 살생물제로 인해 타격을 받아 죽어가는
가운데
살아남은 한 작물에선 많은 곡식들이 맺혀 있다. 생산성은 높아질 수 있지만 주변의 식물들을 죽게 만든 약물이 농작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 수 없는 상황을 암시하고 있다. 각종 이해관계가 ... ...
사람처럼 달리는 로봇
팝뉴스
l
2018.05.17
10일 공개한 영상 중 일부이다. 로봇 아틀라스가 풀밭 위를 달린다. 새소리가 들리는
가운데
로봇은 조깅하듯 달린다. 유튜브의 한 댓글은 ‘나보다 더 사람처럼 달린다’라는 평가다. 사람이 달리는 모습과 너무 닮아 두렵다는 반응도 있다. 로봇은 경사로도 오른다. 영상 마지막 부분에서는 ... ...
창의력 비결은 잠...수면 중 기억-창의력 관계 모델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18.05.16
사라진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의 생리학자 아리타 히데오가 발견한 PGO파는 뇌의 한
가운데
에 위치한 뇌간에서 발생해 시상이란 중계소에 갔다가 후두엽(Occipital Lobe)으로 흘러가는 파다. 깨어있을 때 이 파가 나타나면 눈에서 들어온 정보는 바로 대뇌로 가지 않고 시상에 들렀다 가는 것으로 ... ...
영아 아토피 피부염, 원인은 장내미생물 불균형
동아사이언스
l
2018.05.14
안고 산다. 아토피 피부염 발생 과정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영아의 장(場)내 미생물이 아토피 피부염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홍수종 울산대 서울아산병원 교수와 김봉수 한림대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영아의 장내에 다양한 미생물이 ... ...
미래 융복합 연구 위해 청년과학자와 머리 맞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14
머리를 맞대는 ‘융합연구’가 과학기술계 새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해 청년 과학기술자들과 머리를 맞대고 해법을 고민하는 ‘토크 콘서트’를 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새로운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 공개와 함께 청년 ... ...
[표지로 읽는 과학] 생존 위해 진화 선택한 나비, 오히려 멸종으로 내몰려
동아사이언스
l
2018.05.14
대신 외래종인 창질경이를 선호하게끔 점차 진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2005년 목장 운영이 중단되면서 사람들은 더 이상 이곳에 창질경이를 심지 않았다. 자연히 창질경이의 개체 수가 줄었고, 환경은 목장으로 운영되기 이전의 야생 상태로 점점 돌아가게 됐다. 하지만 ... ...
이전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