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뉴스
"
논문
"(으)로 총 6,486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 노벨 생리의학상] ‘뇌 속 GPS’ 발견한 뇌 신경과학자들 수상
2014.10.07
때 작동하는 방식으로 현재 위치를 인지할 수 있게 해준다. 오키프 교수에게 박사
논문
을 심사 받은 곽지현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는 “오키프 교수의 발견으로 해마가 기억뿐 아니라 장소 정보를 처리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2014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마이브리트 모세르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좋아 학술지 ‘식품화학’ 최신호에는 사과의 다이어트 효과를 다른 관점에서 조명한
논문
이 실렸다. 즉 포만감 대비 칼로리가 낮은 게 이유라는 기존 열역학적 관점이 아니라 장내미생물의 조성에 영향을 주는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역할에 주목한 것. 프리바이오틱스는 장내유익균의 먹이가 ... ...
헉! 전자기파 쪼이니 체세포가 줄기세포 되네
2014.10.06
너무 까다로워져
논문
을 싣기까지 1년 6개월 이상 걸렸다”고 털어놓았다. 연구결과가
논문
에 게재되기까지는 평균 6개월 정도가 소요된다. 그는 “이전까지 의료목적으로 쓰이던 전자기파가 세포내 유전자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 알아낸 점과 발암 가능성이 있는 유전자를 제외하고 줄기세포를 ... ...
[사이언스 브리핑]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0월 수상자 발표 외
2014.10.01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흡수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M&A를 지양해야 한다는 주제로
논문
을 발표했다. 김종만 교수 - 한국연구재단 제공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은 김종만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0월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김종만 교수는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훨씬 미끄러운 상태가 된다. 참고로 설원에서 스키를 탈 때 마찰계수는 0.04 정도다.
논문
에는 사람이 걸을 때 바닥에 가해지는 힘을 분석한 내용도 있는데 꽤 흥미롭다. 즉 우리가 발을 내디딜 때 보통 15도 정도 기울어져(θ=15°, 수직선 기준) 힘이 가해진다고 한다. 따라서 수직성분의 힘은 Fcosθ, ... ...
톰슨로이터, 노벨과학상 수상후보 한국 과학자 첫 지목
2014.09.26
92년 과학저널 네이처에 소개한 인물이다. 메조다공성물질은 1970년대 처음 발견됐지만 이
논문
이 발표되기 전까지 미지의 물질로 남아있었다. 유 단장은 여기에 ‘실용성’이라는 날개를 달았다. 메조다공성물질의 구멍 크기를 키우고 다양화해 활용도를 높인 것이다. 실리카(이산화규소)로만 ... ...
이재영 GIST 교수·김하석 DGIST 교수 최우수
논문
저자상 수상
2014.09.24
이 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그래핀 기반 고 에너지 밀도 액체연료 변환 촉매 관련 연구
논문
에 대해 “미래 수소기반 에너지 개발에 있어 학문적·산업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성과”라고 수상 이유를 밝혔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지구온난화 가스인 이산화탄소를 ... ...
“학부 3학년부터 실험실 생활 시작했죠”
2014.09.24
연구를 주도해 주요 학술지에 제1저자로
논문
을 발표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특히 이
논문
은 이탈리아 제노아에서 열린 유럽 조직공학 국제재생의학학회에서도 발표됐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손상된 뼈 조직에서 뼈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손상된 조직을 재생할 때 쓰는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전으로 추정한 2006년 ‘네이처’에 실린 한
논문
의 결과와는 엄청난 차이다. 연구자들은
논문
에서 2006년 데이터를 재현하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물론 이번 연구결과가 100% 확실한 건 아니겠지만 기존의 방법보다는 훨씬 개선된 방법을 통해 나온 데이터이기 때문에 어차피 남의 연구결과를 ... ...
“나 그렇게 만만한 대장균 아니야”
2014.09.21
장식했다. 그 뒤로는 희미하게 유럽 지도가 보이는데, 이는 현대 유럽인의 기원을 담은
논문
의 내용을 암시한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스웨덴 스톡홀롬대 등 국제 공동연구진은 고대 인간의 뼈를 이용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 중 한 명은 약 7000년 전에 독일에서 농사를 ... ...
이전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