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부위원
정부
역원
중역
국
부
이사
뉴스
"
위원
"(으)로 총 7,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항암치료 시대 열렸다” 노벨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1
수상자를 선정한 노벨
위원
회에서 현장 취재진의 질문에 대해 답변하고 있다. 아래는 노벨
위원
회 전문가들과 언론의 일문일답. -암에 대한 연구가 많은데 왜 이 연구가 노벨상을 받았나. “기존의 암 연구가 종양 그 자체에만 중점을 두고 연구를 했다면, 이 두 연구는 면역계 전반을 대상으로 하고 ... ...
3세대 항암제 탄생 이끈 앨리슨·혼조 교수는 누구
2018.10.01
가능할 것”이라며 “환자의 괴로움이 없어질 날을 기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벨
위원
회는 “매년 수백만 명의 사람을 죽이는 암은 인류가 정복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의학적 도전”이라며 “두 수상자의 학술적 연구는 암과의 전쟁을 대표할 만한 ‘지표’라 할 수 있다”고 수상자 선정 이유를 ... ...
적 위성 요격하고 1시간만에 지구 반대편 폭격하는 '우주전' 현실로
과학동아
l
2018.10.01
6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국가우주
위원
회 회의에서 공군에서 우주군을 분리 독립시키겠다고 발표했다. 지난 8월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은 2020년까지 우주군을 창설하겠다는 계획을 선언했다. 지난 1967년 체결된 유엔(UN)우주개발조약은 우주의 평화적 이용을 목표로 삼고 있다. 하지만 ... ...
면역기능의 브레이크를 풀다…항암치료 길 연 美日 과학자 노벨의학상 수상(종합)
2018.10.01
원리를 발견한 두 명의 의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
위원
회 1일 오전 11시 30분(현지시각) 혼조 다스쿠(本庶佑) 일본 교토대 명예교수와 제임스 앨리슨 미국 텍사스대 앤더슨 암센터 교수를 2018년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면역관문억제제는 ... ...
노벨생리의학상, 면역항암 치료 길 연 앨리슨·혼조 교수 수상(3보)
2018.10.01
(좌) 제임스 P. 앨리슨 미국 텍사스주립대 면역학과 교수, (우)혼조 타스쿠 교토대 교수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면역세포를 이용해 암치료의 길을 연 미국과 일본 ... 발표한다. 혼조 타스쿠 교토대 명예교수가 노벨상 수상 소식을 접하고 동료들과 기뻐하고 있다. 노벨
위원
회 트위터. ... ...
노벨생리의학상에 면역치료 전문가 제임스 앨리슨·혼조 다스쿠 수상(2보)
2018.10.01
교수와 혼조 다스쿠 일본 교토대 명예교수가 선정됐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
위원
회는 1일 "앨리슨 교수와 혼조 교수가 면역학 연구를 통해 암 치료에 일대 혁명을 일으켰으며 암 치료 방법을 근본적으로 변화 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고 설명했다. ... ...
[인사] 원자력안전
위원
회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원자력안전
위원
회 ▽국장급 △ 기획조정관 장보현 △ 방사선방재국장 김성규 ▽ 과장급 △안전기준과장 최수진 ...
게임에 빠진 ‘초딩 스몸비’ 휴대전화 코 박고 차도로 불쑥
동아일보
l
2018.10.01
개설해 운영 중이다. 반면 한국은 교원 양성 과정에 교통 안전교육이 없다. 방송통신
위원
회는 올 5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예방 앱 ‘사이버안심존’에 스몸비 방지 기능을 넣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5∼7걸음 걸으면 자동으로 화면이 잠긴다. 다시 사용하려면 잠금 해제 버튼을 눌러야 한다. ... ...
[2018노벨상]올해 노벨문학상은 없다…성추문·미투 운동에 위상 '흔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losingthenobelprize.org)을 시작했다. 그는 “이번 성추문 사태를 계기로 스웨덴한림원과 노벨
위원
회가 위기 의식을 느끼고, 새로운 100년을 위해 반드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커트 라이스 미국 오슬로 메트로폴리탄대 이사장은 “노벨상이 계속 지금과 같이 여성 과학자들의 업적을 제대로 ... ...
[2018노벨상]30대 시작 50대 정점,60대 완성…축적의 시간 필요한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요아킴 프랑크 미국 컬럼비아대 생화학분자생물학과 교수, 리처드 헨더슨 영국 의학연구
위원
회 분자생물학연구소 연구원도 30대 중반부터 각자 극저온전자현미경에 필요한 연구에 관심을 쏟았다. 노벨상 수상까지 걸리는 평균 기간. 한국연구재단 제공 하지만 이는 30대 중반 연구를 시작해 40대 ... ...
이전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