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의술
메디컬
메디칼
medical
뉴스
"
의학
"(으)로 총 6,362건 검색되었습니다.
셜록이 담배를 끊지 못하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4.06.17
2개 이상 사용했을 때 금연 성공률이 45% 이상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미국 정신
의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험을 위해 우선 하루에 담배를 10개비 이상 피우는 ‘골초’이면서 금연을 희망하는 실험 참가자 349명을 모았다. 실험 참가자들에게는 ... ...
남미 국가들이 축구처럼 과학도 잘 하려면
과학동아
l
2014.06.15
가지고 오기도 한다. 블랑팽 박사와 푸시 박사는 논문에서 “상피줄기세포 연구는 재생
의학
분야와 암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 ...
노벨상 받은 ‘iPS세포’, 암 일으킬 지도
과학동아
l
2014.06.11
불린다. 이 현상을 처음 발견한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 교수는 2012년 노벨 생리
의학
상을 받았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처음 삽입한 외부유전자가 이후에도 그대로 남아있다는 점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해 왔다. 도정태 건국대 동물생명공학과 교수팀은 기존 방법으로 만든 ... ...
독사에 물려도, 당황하지 않고, 이 약물 뿌리면 끝
과학동아
l
2014.06.04
새뮤얼 교수팀과 공동으로 코에 뿌리는 형태의 뱀독 해독제의 효과를 확인했다고 ‘열대
의학
저널’ 5월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생쥐에게 인디안 코브라의 독을 치사량만큼 주사한 뒤 10분 뒤 특정 해독제를 코에 뿌려주자 독성이 감소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해독제는 화학적으로 합성한 ... ...
“등산 잘 하는 사람의 유전자는 태어날 때부터 다릅니다”
과학동아
l
2014.06.04
중인 지식강연시리즈의 강연자로 한국을 찾은 휴 몽고메리 영국 런던대(UCL) 집중치료
의학
과 교수를 2일 서울 종각에 위치한 마이크로임팩트스퀘어에서 만났다. 몽고메리 교수는 지구력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존재를 1998년 학술지 ‘네이처’를 통해 처음 밝혀낸 세계적 석학이다. “안지오텐신 ... ...
김희애의 ‘특급 피부’ 갖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4.06.04
최근 탤런트 김희애의 피부가 화제를 모았다. 최근 종영한 드라마 ‘밀회’에서 상대역인 유아인보다 무려 19살이나 많지만 유아인의 피부와 비교해도 ... 측정하는 분자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연구결과는 ‘분자
의학
경향’ 5월 28일자에 실렸다. ... ...
날조 의혹 STAP 세포 논문, 결국 철회하기로
과학동아
l
2014.06.03
세포의 제조 과정이 담겨 있어 STAP 세포의 존재 여부와도 관련이 있다. 한동욱 건국대
의학
전문대학원 교수는 “STAP 세포는 세계 어느 팀에서도 재현했다는 보고가 없는 만큼 제작 방법을 소개한 첫 번째 논문도 철회돼야 할 것”이라 말했다. 이화학연구소 관계자는 “첫 번째 논문 역시 ... ...
'옥수수 박사'의 감동적인 고백
과학동아
l
2014.06.01
밝혀냈다. 저자들은 문제 부위를 정확히 파악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환자를 진료해온 정신
의학
분야의 치료법은 정형외과 의사가 엑스레이 촬영도 안하고 부러진 뼈를 맞추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비판한다. 그러면서 정서적 질환과 관련된 뇌 부위와 활동 패턴을 면밀히 분석해야 제대로 된 치료가 ... ...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는…
과학동아
l
2014.05.30
화학과 교수) △박광식(동덕여대 약대 교수) △서영준(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분자
의학
및바이오제약학과 교수) △윤주영 이화여대 화학·나노과학전공 교수, △이종흔(고려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조길원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 △조열제(경상대 수학교육과 교수) △천진우(연세대 화학과 ... ...
KAIST 학부생이 세계적 저널에 논문 발표
과학동아
l
2014.05.29
이 학생의 연구성과를 이용하면 며칠씩 걸리던 세균 분석을 단 몇 초 만에 끝낼 수 있어
의학
및 과학분야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KAIST 물리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조영주 씨(사진)는 ‘단일 박테리아 광 산란 분석기술’에 대한 논문을 세계적 과학저널 ‘네이처’ ... ...
이전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