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16,159건 검색되었습니다.
뇌병변도 막지 못한 청년 과학자의 꿈
과학동아
l
201010
석사과정까지 마쳤다. 김 씨의 지도교수였던 장평훈 KAIST 교수는 “밝고 긍정적인데다
연구
성과 역시 탁월하다”고 전했다.글씨도 못 쓰던 아이가 수재로김 씨는 어린 시절 모형 자동차 만들기를 좋아했다. 하지만 양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으니 아버지가 눈 앞에서 만들어 주는 것을 물끄러미 ... ...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10
이런 부분에 더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미래예측분야 전문가인 미국 랜드
연구
소의 리처드 실버글릿 박사는 “시대가 처한 환경을 어떻게 분석하느냐가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기술을 어떻게 개발하느냐는 문제보다 환경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하느냐가 핵심이라는 것이다. 실러글릿 ... ...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
과학동아
l
201010
했다. 당시 에딩턴 경의 지적이 너무 심해 모욕감을 줄 정도였고, 찬드라세카는 천문학
연구
를 그만둘 생각까지 했다.하지만 미국으로 자리를 옮긴 후 그는 더욱 학문에 정진했고, 평생 동안 9권의 책과 5813쪽에 달하는 382편의 논문을 출판했다. 찬드라세카는 73세, 77세에도 책을 출판했고, 숨지던 ... ...
총상 위치 알리고 유아 돌연사 막는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1010
칼로리 소모량을 무선 전송한다. 필요한 센서도 선택해 부착할 수 있다. 조지아 공대
연구
팀에 따르면 이 옷은 아무런 불편함이 없이 일상복처럼 쉽게 입고 벗을 수 있으며, 세탁을 해도 기능이 떨어지지 않는다. 물론 어린이에서성인까지 입는 사람의 몸 크기에 따라 맞춤제작도 가능하다.스마트 ... ...
When Animals Think and Talk
과학동아
l
201010
카드와 ‘물’ 카드를 함께 사용해 ‘홍수’라는 말을 만들었다. 칸지가 살고 있는
연구
소가 위치한 미국 아이오와 주에 홍수가 발생한 적이 있다. 홍수가 잦아든 뒤 보노보들은 그들이 보았던 것(홍수)을 지칭하기 위한 단어를 발명한 것이다. 보노보들은 또한 ‘빵’ 카드, ‘치즈’ 카드를 ... ...
부정적인 허물 벗어버리는 마음 웰빙
과학동아
l
201010
심각한 것이 사회에 팽배해 있는 죽음에 대한 오해이기 때문이다. 한림대에서 생사학
연구
소를 이끄는 오진탁 철학과 교수는 “우리 사회에서는 죽음을 이야기하는 것을 금기처럼 여긴다”며 “죽음을 바르게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자살 같은 어리석은 행위를 저지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10
당한 아동은 아동학대의 피해자가 될 수도, 가해자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을 들었다.
연구
에 따르면 아동학대를 범한 부모의 3분의 2는 자녀에게 올바르게 행동하는 방법이나 교훈을 가르치기 위해 체벌을 시작했다. 반대로 체벌을 받으며 자란 아동은 폭력에 둔감해지고 공격성이커지기 때문에 ... ...
세계가 들썩이는 산업비타민 전쟁
과학동아
l
201010
자원 확보 방안을 모두 동원해 산업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며 “소재, 화학 분야 기초
연구
를 통해 희소금속을 대체하는 신물질 개발 역시 게을리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10
게임 공간은 놀이를 따라가지 못한다.최근에는 이런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
도 진행되고 있다. 우 교수는 열린 공간 속에서 여러 명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디지털 피지컬 필드 게임(DPFG)’을 개발 중이다. 게임을 하고자 하는 공간을 센서와 디스플레이 장치로 둘러싸 가상현실 공간으로 ... ...
‘곰보 자국’이 달 과거 알려줄까
과학동아
l
201010
추측했다. 규소를 많이 포함하는 지역은 과거 마그마가 흘렀다고 볼 수 있다. 두
연구
팀은 달 관측위성이 보내는 데이터를 분석하면 달뿐 아니라 지구의 과거도 간접적으로 밝힐 수 있다고 기대한다. 예를 들면 달에 남겨진 크레이터의 크기와 개수를 분석해 지구가 겪었던 현상도 추측할 수 있다. ... ...
이전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