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9"(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과학동아 l2000년 10호
- 신시내티에서 출생해 하버드 대학에서 1943년 학부를, 1946년 석사과정을, 그리고 1949년 박사과정을 마쳤다. 이후 그는 하버드, UC 버클리, 프린스턴, MIT등 미국의 여러 유명 대학들을 두루 옮겨 다니면서 과학사 및 과학철학 분야의 교수직을 맡았다.'과학혁명의 구조'이외에도, 1957 ...
- 3. 정보의 홍수로부터 해방 인간게놈프로젝트과학동아 l2000년 09호
- 차단이 가능해진다.한편 우주의 신비를 벗기는 데에도 슈퍼컴퓨터가 활용된다. 1999년 1월부터 시험 가동 중인 하와이 마우나케아 산 정상에 건설된 세계 최고 성능의 망원경인 스바루 망원경에 슈퍼컴퓨터가 연결된 것이 한가지 예.우주 신비 벗기는데도 활용스바루 망원경은 지름이 8.3m이고 표면의 ... ...
- 우주의 등대 변광성과학동아 l2000년 09호
- 델타별의 변광 특성은 청각 장애자이던 영국 아마추어 관측가 존 구드릭이 그의 나이 19살 때인 1784년에 발견했다. 그뒤 하버드대학 천문대에서 남천 하늘을 찍은 사진 건판에서 변광성을 골라내는 작업을 하던 여성 천문학자 헨리에타 리비트가 1908-1912년에 걸쳐 소마젤란 성운속에서 약 2천4백개의 ... ...
- Ⅲ. 추석달이 1년중 가장 멋진 달일까과학동아 l2000년 09호
- 양력 9월의 보름을 그리 큰 명절로 취급하지 않았다.우리나라도 1년중 가장 풍족한 때는 9월이 아니라 10월 상달이며,이때 1년 수확을 기뻐하고 조상신에게 제사도 지내고 사냥도 했음이 고대사에 전한다.서양에서도 10월의 보름달을 사냥꾼달(hunters moon)이라고 불렀음이 우연이 아니다.우리 겨레만큼 ... ...
- 난치병 치료의 두가지 돌파구과학동아 l2000년 09호
- 확보되지 않은채 적용되면 인체에 오히려 해를 준다는 경고에 직면하고 있다.지난 8월 9일 서울대 황우석교수(수의대)는 ‘체세포를 이용한 고능력 젖소의 복제생산’에 대한 연구 발표회에서 “36세의 한국인 남성의 귀에서 채취한 체세포를 이용한 복제실험을 통해 배반포 단계까지 배양하는 데 ... ...
- 1. 시간과의 끝없는 전쟁 기상예측과학동아 l2000년 09호
- TV, 라디오 등의 매체를 통해 일반인에게 방송된다.밤 11시 30분이 되면 같은 밤 9시에 관측된 자료가 슈퍼컴퓨터에 입력돼 똑같은 절차에 따라서 다음 예상자료가 나온다.내일의 날씨를 예보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슈퍼컴퓨터에서 분석과 예측계산에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은 오전 11시 30분 관측자료가 ... ...
- 만약 30억개 염기쌍이 흩어져 있다면과학동아 l2000년 09호
- 즉 유전자의 크기는 비슷할 테니까 사람이 대장균과 유사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면 약 9천만 개의 염기쌍만 있으면 족할 것이다. 이것은 앞서 말한 30억개의 3%에 불과한 숫자다.DNA를 지름이 1cm 정도 되는 밧줄로 확대하고, 30억개 염기쌍에 해당하는 DNA를 공 모양으로 빈틈없이 감는다면 그 공은 ... ...
- Ⅱ. 드라큘라는 왜 보름달에만 출현하나과학동아 l2000년 09호
- 무렵에 자살사건이 증가했다고 한다. 같은해 11년 동안 정신병원에 입원했던 1만8천4백95명의 환자들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정신병으로 인한 입원횟수는 초승달 시기에 가장 많았고 오히려 보름달 시기에 가장 적었다. 또 1978년 미국 임상정신의학 저널에는 13년 동안 2만5천5백68회의 정신과 응급실 ... ...
- 허블 우주망원경 혜성핵 붕괴현상 포착과학동아 l2000년 09호
- 혜성의 핵이 붕괴되는 현장을 자세하게 포착했다고 발표했다. 화제의 주인공은 지난해 9월말에 발견된 ‘C/1999 S4’, 일명 리니어 혜성. 리니어는 지구근접 소천체 탐색을 위해 미국 MIT대학 산하 링컨연구소에서 수행중인 프로젝트의 이름에서 따온 이름이다.리니어 혜성은 발견 이후, 금년 7월 말에 ... ...
- 신비로운 무늬 연출하는 선의 조화 무아레과학동아 l2000년 09호
- 한 주기 이동해가면 무아레 무늬도 한 주기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과학동아 1998년 9월호 사이언스파티 참고).줄무늬의 주기가 작더라도 무아레 무늬의 주기는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짧은 거리의 이동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즉 무아레 무늬가 이동해간 수만 세면 줄무늬가 몇개 ... ...
이전6036046056066076086096106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