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어질어질 우주멀미도 실험열정 막지 못해!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들어가게 하고, 나머지 2개는 빛을 막아뒀다. ISS에 실험 장치를 두기로 한 위치가 환한
곳
이 아니라서 빛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이 잘 나타나지 않으면 어쩌나 걱정이 됐다. 하지만 ISS의 벽은 빈 부분을 찾기 힘들만큼 여러 가지 물건이 가득 붙어 있어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매일 한 번씩 싹이 튼 ... ...
바닷물 온도로 태풍 강도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수온 상승값은 세계 평균 상승값보다 큰 편”이라며 “적도 지역 바다와 수온이 비슷한
곳
도 있다”고 전했다. 한편 강 박사는 “앞으로 동중국해 대륙붕해역이 더 따뜻해지고 혼합층이 두꺼워지면 오키나와 남측의 따뜻한 바다 위를 통과한 4, 5등급의 강한 태풍이 그대로 한반도에 상륙할 수 ... ...
독성 없는 항암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연구단을 설립했다. 현재 유전자를 이용한 암 억제 연구 분야에서는 연구단을 따라올
곳
이 없다. 연구단은 메틸기가 렁스3 유전자에 붙는 염기서열에 대한 특허를 갖고 있다. 그런데 배 단장은 특허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그는 전 세계 연구소와 대학에서 실험과 연구 목적으로 특허 사용을 ... ...
같은 살모사, 사는
곳
따라 독성분 달라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잡은 지역은 큰 산으로 가로막혀 있어 살모사들끼리 최소 500만 년 이상 서로 왕래가 없던
곳
이다. 흥미롭게도 카리브해 연안의 뱀은 치사율이 태평양 연안의 뱀보다 6배나 높아 중앙아메리카살모사는 사는 지역에 따라 독의 화학적 성분이 다를 것이라고 추측해왔다.연구팀은 양쪽 지역에서 ... ...
음악소리 크면 술 많이 마신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높아진다. 프랑스 브르타뉴-쉬드대 행동과학과 니콜라스 게강 교수팀은 음악소리가 큰
곳
에서는 많은 양의 술을 급하게 마신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논문은 미국 알코올 및 약물중독 위원회가 설립한 ‘알코올 중독: 임상 실험 연구’ 10월호에 실릴 예정이다.연구팀은 18~25세 남성 40명을 두 ... ...
애교덩어리 말티즈 듬직한 리트리버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개 게놈을 분석해 이 유전자가 크기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IGF1 유전자에는 20
곳
의 SNP 자리가 있는데 그 가운데 다섯 번째 자리의 SNP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소형견은 대부분 이 자리의 염기가 A(아데닌)이고 대형견은 G(구아닌)다. 이 부분은 유전자의 인트론에 위치해 만들어지는 단백질 ... ...
'과거의 시간' 관측하는 별밤지기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건물에 가려있지 않아야 한다. 사진을 선명하게 찍으려면 주변에 인공조명이 없는
곳
을 찾아야 한다. 디지털 카메라가 대세인 요즘에도 폴라리스는 필름 카메라를 고집하기 때문에 정작 인화했을 때 쓸 만한 사진을 못 건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필름 카메라는 디지털 카메라가 따라잡을 수 없는 ... ...
하늘이 내려준 돈줄기 빗물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갑작스런 대형 강우의 충격을 줄여준다.둘째,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 빗물이 떨어진
곳
에서 바로 빗물을 모아 이용하므로 물을 운반하거나 처리할 때 드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물은 비열이 크므로 열량을 많이 가둬둘 수 있다. 건물에 빗물저장시설이 있으면 건물 내부 온도가 여름에 약 ... ...
목성과 즐거운 화상 채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않을 전망이다. ‘부분일식 맛보기’를 조금 더 오래 보기 원하는 사람은 시야가 트인
곳
에서 관측하는 것이 좋다.8월 17일 부분월식지구 그림자가 달의 일부를 가리는 부분월식이 17일 새벽 펼쳐진다. 부분식은 새벽 4시 35분에 시작해 오전 7시 45분에 끝날 예정이다. 하지만 달이 새벽 5시 53분 쯤 서쪽 ... ...
무관심 속에 파고든 A형간염 주의보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말이다. 이 바이러스는 건조하거나 차가운
곳
에서도 1개월 이상 살 수 있다. 또한 습한
곳
에서는 소금기가 있어도 1년 이상 살아남을 정도로 생명력이 질기다.보통 감염된 직후부터 2주까지 대변에 바이러스가 가장 많이 섞여 나온다. 이때는 한집에 사는 가족을 감염시킬 정도로 전파력이 세다. ... ...
이전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6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