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생활속으로 파고드는 우주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NASA의 신기술로 돌아갔다. 그녀가 착용한 브래지어 때문이었다.여자는 젖가슴이
크기
때문에 운동할 때 여러가지 불편을 겪는다. 우선 젖가슴 주위에는 땀샘이 많아 땀이 많이 난다. 또 출렁거리기 때문에 힘이 많이 소비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스포츠 브래지어다. ... ...
수학의 난제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그림1)을 보자 그림에서 1은 주어진 단위길이이고 a와 b 는 각각 주어진 실수들의
크기
이다. (그림1)에서 x 는 점 D 를 지나고 선분 BA 에 평행한 직선을 작도함으로써 얻어지고, 이때 다 알고 있는 닮음비를 사용하면 (a+x) : (1+b)=a : 1 을 알 수 있다. 여기서 x=ab 의 값을 얻게 돼 역시 작도 가능한 두 수의 ... ...
Ⅳ NASA 웹사이트베스트7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www.hq.nasa.gov/office/aero/index.htm)에 잘 요약돼 있지만, 텍스트에 딸린 그림의
크기
가 작다는 아쉬움이 있다. 거기서 답답함을 느낀 분은 마샬우주비행센터의 재사용발사체(RLV) 홈페이지를 찾아가야 한다. 여기에는 대형 사진파일과 시원스러운 일러스트레이션이 기다리고 있다.마샬우주센터는 ... ...
생활속의 반도체 마이컴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비슷하다. 비빔밥처럼 간편하게 먹어보자(사용해보자)는 것이다. 결국 마이컴은
크기
가 작고 전력소모가 적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안고 컴퓨터의 틈새시장을 차지하고 있다.하지만 마이컴과 일반 컴퓨터의 질적인 차이는 파출부와 아내 만큼이나 크다. 마이컴은 시킨 일만 주로 하지만, 일반 ... ...
밤하늘의 방랑자 혜성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무게밖에 나가지 않지만, 실제 혜성의 핵은 이보다 수백배에서 수천만배 더 무거우며 그
크기
는 웬만한 산 만하다. 만일 혜성의 꼬리를 만들어보고 싶다면 헤어 드라이어로 뜨거운 바람을 불어보자. 혜성의 핵이 오래 남아있지는 못하지만 혜성이 증발하면서 흥미로운 효과들을 볼 수 있다. 때로는 ... ...
Ⅰ 머큐리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새턴 5호 로켓으로 발사하는 거대한 착륙선이었다. 그러나 예산삭감으로 우주선의
크기
는 작아졌다. 이름도 '보이저' 에서 화성을 침공하는 해적을 뜻하는 '바이킹'으로 바뀌었다.NASA의 제트추진연구소와 랭글리연구소가 공동설계한 바이킹은 궤도를 도는 궤도선과 직접 화성표면에 떨어지는 ... ...
지구 위의 몰래카메라 첩보위성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얻을 수 있는 탑재체(카메라)를 적재한 위성이다. 1m 해상도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1m×1m의
크기
를 갖는 지표면의 물체를 영상자료에서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구체적인 정의는 없지만 첩보위성은 서브미터급(해상도가 1m 이하)의 위성영상을 이용한다. 이 정도는 돼야 적국의 군사동향과 작은 ... ...
단백질 구조 밝힌 생화학의 선구자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옹스트롬: 10-8cm) 정도이고, 단백질 분자는
크기
가 수십에서 수백Å 정도다. 이 정도의
크기
는 광학현미경은 물론이고, 배율이 훨씬 뛰어난 전자현미경으로도 관찰할 수 없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시료에 일정한 파장의 빛을 쬐어 흡수되는 파장을 조사하거나 혹은 분자로부터 나오는 빛의 파장을 ... ...
가을밤에 만난 이웃 은하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삼각형 자리는 안드로메다자리 아래에 그리스 문자 델타(Δ)와 닮은 이등변 삼각형이다.
크기
가 작은 별자리지만 ‘나일 삼각주’나 ‘시실리섬’의 상징으로 고대부터 알려져온 별자리다. 지금은 M33 때문에 잘 알려진 별자리가 됐다.M33은 안드로메다자리 베타별을 기준으로 M31과 대칭점에 있는 ... ...
PartⅠ. 사이버 사회 누비며 종횡무진 활약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경우보다 여러모로 편리한 시스템이다.가상 인간이 제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신체의
크기
, 동작 능력, 시야 등이 실제 인간과 거의 똑같아야 한다. 현재까지 가장 첨단화된 가상 인간은 버추얼 잭(Virtual Jack). 1970년대 중반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의 배들러 교수가 박사 논문을 위해 연구하는 ... ...
이전
605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