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전"(으)로 총 6,45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중건설의 신기원, 국산 로봇이 연다동아사이언스 l2014.04.21
- 참여하고 있다. 제2 핵심과제는 한국로봇융합연구원이 주관 기관이며, KT서브마린, 대양전기 등의 기업이 참여한다. 제3 핵심과제는 올해 8월부터 시작된다. 사업단이 거둘 연구개발성과에 대해 장 단장은 “3종의 수중건설로봇을 제작하고 이들에 대한 성능 검증 시험을 하게 된다”며 “이를 통해 ... ...
- [생활 속 기술]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KOITA l2014.04.17
- 개발해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아직 갈 길이 멀다. 이들의 제작 공정과 제품은 아직 전과정평가(LCA)를 거치지 않았다. 농작물 폐기물을 없애고 스티로폼을 대체 할 수 있지만, 제조 과정에서 오히려 더 많은 자원이 들지는 않는지, 탄소배출이 느는 것은 아닌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들은 ... ...
- [채널A] 무인기 딸기 배달은 위법? 비행 규정 들쭉날쭉채널A l2014.04.16
- 국민들이 즐길 수 있게... 아무런 제약 없이 무인기를 띄울 수 있는 곳은 충남 공주와 전남 담양, 고흥 등의 18곳뿐. 무인기에 적용하는 규정을 명확히 하는 것이 시급해보입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40411/62475710/1 ...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동아사이언스 l2014.04.14
- 아니라 호모 에렉투스의 변이형에 불과하다는 것. 지난 20년 동안 이 일대 177만~185만 년 전 지층에서 두개골 5점을 비롯해 인류 화석이 다수 발굴됐는데 특히 2005년 발굴된 ‘5번 두개골’은 이 시기의 것으로는 최초의 완벽하게 보존된 어른 호미니드 두개골이다. 논문은 5번 두개골에 대한 ... ...
- 꽃은 봄이 온 걸 어떻게 알까?KISTI l2014.04.10
- 대기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SVP(Short Vegetative Phase)단백질과 결합해, 개화 촉진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해 개화를 늦춘다는 것이다. 겨울 내내 앙상하게 가지만 남아 있던 나무들이 사실 꾸준히 주변을 살피고 수많은 물질들을 만들며 개화를 준비했을 것을 생각하면 새삼 생명 활동의 섬세함에 ... ...
- [이달의 역사]프리스틀리, 과학을 위해 살고 과학을 위해 죽다KISTI l2014.04.10
- 산소의 발견으로 유명한 과학의 선구자 프리스틀리(Joseph Priestley, 1733~1804)의 공식적인 직업은 신학자이다. 1752년부터 1755년에 디벤트리에 ... 의의가 있지만 안타깝게도 그것은 그의 생명을 담보로 한 것이다. 그는 사망하기 한 시간 전까지도 받아쓰기를 시켜 원고를 수정하고 있었다고 한다 ... ...
- [기술이 바꾼 미래] 증기기관의 시대를 열다동아사이언스 l2014.04.10
- 수많은 후속 혁신 작업들이 앞선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뒷받침함으로써 기술이 보다 완전한 모습을 드러낸다. 뉴커먼이라는 선두 주자가 있었기 때문에 와트의 증기기관이 드디어 개발될 수 있었는데 다행한 것은 뉴커먼, 와트 모두 엄청난 재산을 모았다는 점이다. 과학기술로 거부가 될 수 ... ...
- [채널A] ‘블랙박스 탐색전’ 누가 이길까? 나라의 자존심 건 수색채널A l2014.04.10
- 중입니다. 미국은 스스로 움직이는 무인 잠수정 블루핀도 동원했습니다. 이 잠수정은 3년 전 해저 900m 깊이에서 에어프랑스의 블랙박스를 찾아냈습니다. 역시 탐색 작업에 투입된 영국의 핵잠수함 타이어리스호는 자연음파와 인공음파를 구별하는 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현재 인류의 ... ...
- 집중초음파로 뇌 자극해 촉각을 느낀다2014.04.09
- 어떻게 반영되고 연결되는지를 파악하려고 기능적 뇌영상 연구를 해왔다. 그러다가 5년 전부터 유승식 하버드의대 영상의학과 교수와 협업하고 있다. 정 교수는 "저강도 집중초음파 자극기에 대한 선도적 기술을 갖고 있는 유 교수 덕분에 이 분야의 연구에 뛰어들었다"며 "우리 연구팀의 성과는 ...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4.04.08
- 그 당시에는 해왕성 너머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뒤 천왕성 중력의 영향으로 공전궤도가 흔들려 지금의 위치에 온 것으로 보인다. 커리클로가 사라지면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천체는 다시 넷이 된다. 물론 100년도 못사는 인간이 아직 최소한 수백만 년의 삶이 남은 커리클로의 운명을 ... ...
이전6056066076086096106116126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