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1,982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
과학동아
l
201611
인류가 밝혀낸 과학은 사람에 대해 얼마나 많이 알고 있을까. 어쩌면 사람의 감각은 다섯
개
가 아니라 여섯
개
, 아니 더 많을 지도 모른다. 지금도 여러 과학자들은 여섯 번째 감각이 있다는 가정 하에 동물에게만 있는 능력이나 비과학적이라고 여겨지는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미래에는 베일에 싸여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
수학동아
l
201611
이상영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이를 해결할 ‘종이 배터리’를
개
발했다고 밝혔다. 일반 잉크젯 프린터로 종이 위에 출력한 글씨나 그림이 배터리가 되는 것이다. 종이 배터리는 여러 번 굽히고, 심지어는 구겨도 성능이 그대로다. 유연하고 다양한 배터리 디자인이 가능해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
수학동아
l
201611
위상적인 성질을 연구하면 이런상황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나아가 양자컴퓨터가
개
발됐을 때, 변형해도 바뀌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면 정보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지난 30년간 이뤄온 연구가 바꿀 미래가 앞으로 더 기대된다. 홀데인 교수는?홀데인 교수의 제자인 박예제 KAIST 물리학과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11
전기적 신호를 저장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통로역할을 하게 된다.연구팀은 여러
개
의 멤리스터를 연결한 뒤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제어하면 향후 뇌의 작동방식과 닮은 인공신경망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이번 연구를 함께한 나노전자기학 더미스 프로드로마키스 교수는 ... ...
[과학뉴스] 고통을 모르는 벌거숭이 두더지쥐
과학동아
l
201611
두더지쥐의 TrkA 수용체에서 1~3
개
의 아미노산 구조 변화가 발견됐다. 연구를 주도한
개
리 르윈 교수는 “아주 미묘한 변화가 중요한 특징을 만들어냈다”며 “사막의 땅속에서 살아오는 과정에서 열로 인한 통증을 느끼지 못하도록 진화한 결과”라고 추측했다. 연구 결과는 ‘셀 리포트’ 10월 1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
과학동아
l
201611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노벨과학상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
척자들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611
안전은 보장할 수 없다는 뜻이다. 실제로 2013년 경북 안동시에서 고슴도치가 매
개
하는 식중독 균인 살모넬라티렌(Tilene)에 감염된 환자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나왔다. 이를 조사한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센터 수인성질환과 연구팀은 ‘국내 최초로 분리된 살모넬라 티렌에 의한 감염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
과학동아
l
201611
있어도 매우 짧은 상태로 태어났다. 전자 의수는 이 가여운 아이들을 돕자는 취지에서
개
발되기 시작했다. 이때 만들어진 회사가 바로 현재 전자의수 분야에서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는 터치바이오닉스다. 이 회사는 1963년 영국 에든버러에 있는 마가렛 로즈 병원의 작은 연구실에서 문을 열고 피해 ... ...
[지식] 저글링 하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611
평면 분할 문제와 관련이 깊어요. 직소퍼즐에서 튀어나온 부분과 들어간 부분의
개
수가 같은 조각을 0, 세로로 튀어나온 조각을 1, 가로로 튀어나온 조각을 -1이라 두고 직소퍼즐이 되는 경우를 세면 평면 분할 문제의 답과 똑같거든요. 신기하죠?”수학 잘하고 싶다면? 좋아하세요!수학자라고 하면 ... ...
[수학동아클리닉] 별이 숨어있는 도형, 스타돔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11
만든 다면체다. 이것을 ‘n단계 지오데식 구면’이라 한다.정이십면체는 한 꼭짓점에서 5
개
의 정삼각형이 만나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2단계 이상의 지오데식 돔에서는 오각형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지오데식 돔은 정오각형과 정삼각형으로 이뤄진 준정다면체인 ‘십이이십면체’로 만들 수도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