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물
단순물
d라이브러리
"
단순한것
"(으)로 총 2,486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두가 승리한 로봇 축제 FLL 체험기
과학동아
l
201103
세계에서 가장 큰 로봇대회 중 하나인 FLL대회가 1월 29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렸다. FLL대회는 레고가 만든 지능형 로봇블록 ‘마인드 스톰’으로 로봇을 만들어 겨룬다. 세계적으로 50여 개국 15만 명이 참가한다.창의공학교육협회와 동아사이언스가 주최한 한국 예선에는 58개 팀 540여 ... ...
프로그래밍을 대하는 자세
과학동아
l
201103
※ 새롭게 시작하는 이 코너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머 및 개발자를 꿈꾸는 중고생 정보영재들에게 IT 전문가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연재합니다. 20여 년 전 개인용 PC가 막 보급되기 시작했을 무렵, 애플2라는 컴퓨터가 전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하드드라이브도 없었고, 당시로서는 획기 ... ...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
과학동아
l
201103
최근 ‘재능기부’가 주목받고 있다. 기업이나 개인이 갖고 있는 재능이나 지식을 필요한 사람에게 나눠주는 새로운 형태의 기부다.재능이라고 해서 특별한 능력만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직업 활동에서 얻은 노하우나 기술도 재능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요리사가 자신만의 레시피를 공개한다거 ... ...
달라진 융합형 과학 교과서
과학동아
l
201103
새 학기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은 새로운 융합형 과학 교과서로 공부한다. 우주 빅뱅부터 시작해 현대과학이 등장하는 파격적인 구성과 이야기 중심의 내용이 학생들에게는 무척 생소하게 다가올 것이다. 달라진 교과서는 어떤 취지로 만들었으며, 어떻게 공부하는 게 효과적일지 함께 살펴보자. ... ...
차세대 우주왕복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3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안녕하세요? 저는 최초의 로봇 우주인 ‘로보노트2’라고 해요. 2월 말에 마지막으로 발사될 디스커버리호에 실려 국제우주정거장으로 보내질 예정이랍니다(1월 21일 기준).우주정거장 청소와 우주인들을 돕는 역할을 맡게 될 거예요.그런데 ‘어린이과학동아’엔 웬일 ... ...
수학적인 구조를 갖는 물질이 있다?!
수학동아
l
201103
3개의 동그란 고리가 있다. 이 3개의 고리는 서로 연결돼 있는데, 이 중 하나를 자르면 어떻게 될까? 놀랍게도 나머지 고리가 모두 풀린다.이것은 수학에서 ‘브륀 연결(Brunian link)’이라 부르는 구조 중에서 가장 단순한 ‘보로메오 고리(Borromean ring)’다. 이와 같은 연결구조는 수학의 한 분야인 위 ... ...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
수학동아
l
201102
고누에서 진 신라의 김유신은 이제 백제 계백과의 한판에 더 신경을 쓴다. 신라는 경기도 남부 지역을, 백제는 충청도 북부 지역을 놓고 쌍륙으로 서로의 실력을 겨룬다. 영토를 넓히는 장수는 백제의 계백일까, 신라의 김유신일까?백제 계백 vs 신라 김유신의 쌍륙 한판 쌍륙은 윷놀이처럼 말을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02
생물은 오랜 기간 동안 진화를 거쳐 발전해왔다. 그 때문에 무척 견고하고 안정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다. 그런데 생명현상을 잘 들여다 보면 그 안에서 의외의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삶을 지탱하고 있는 모습이 복잡계 네트워크 구조와 비슷하기 때문이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02
[2. 손가락에 숨은 비밀]대학 4학년 때의 일입니다. 몇 가지 졸업작품을 생각하다가 로봇팔 비슷한 것을 만든 적이 있습니다. 대강 설계도를 그린 다음 동네 공업사에 가서 여러 가지 부품을 만들어 왔습니다. 그 다음 에폭시 같은 접착제나 고무줄, 테이프 같은 것으로 부품을 얼기설기 엮어서 형태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02
현재 구제역이 AI보다 훨씬 심각한 피해를 끼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사람들은 구제역 보다 AI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AI의 일부는 사람까지도 감염시킬 수 있을뿐더러 일단 감염되면 고병원성일 경우 치사율이 60%에 이르기 때문이다. 실제 2003년 동남아에서 AI에 사람이 감염된 사례가 처음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