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리
수레바퀴
차륜
타이어
굴레미
링
반지
d라이브러리
"
바퀴
"(으)로 총 1,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의 마법 피보나치수열
과학동아
l
200703
시계방향과 시계반대방향의 나선이 있다고 하자. 그럼 0.5회전을 할 때마다 한 개, 즉 한
바퀴
돌면 두 개의 씨앗이 나란히 배열된다. 이때 해바라기의 꽃머리는 씨앗으로 꽉 채워지지 않고 빈공간이 많아진다.회전 비율이 0.48인 경우는 0.48회전마다 한 개의 씨앗, 바꿔 말해서 12회전마다 25개의 씨앗이 ... ...
꼭꼭 숨은 금속 찾아내는 맴돌이 전류
과학동아
l
200703
쓰이는 이런 브레이크를 ‘맴돌이 브레이크’라고 부른다.맴돌이 브레이크는
바퀴
와 레일의 마찰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끄러운 소리도 나지 않고 브레이크가 닳아 미끄러지지도 않는다. 다만 구리판에 전류가 흐르면 저항 때문에 구리판이 갑자기 뜨거워진다. 하지만 주위에 있는 공기가 이 ... ...
스러지지 않는 노병, 스피릿과 오퍼튜니티
과학동아
l
200703
알 칼리’(Rub al Khali)라고 이름을 붙였다. 아랍어로 ‘텅 빈 곳’이라는 뜻이다.이름처럼
바퀴
자국은 바람에 의해 흔적도 없이 사라질 것이다. 하지만 언젠가 이곳에 올 인간은 이 발자국을 기억해 주겠지… ... ...
아우별이 형별보다 밝은 이유는?
과학동아
l
200703
B는 매우 밝고 가깝게 붙어 있으나 C는 매우 어둡고 거리도 멀다. 카스토르C가 주성 A를 한
바퀴
도는 데는 거의 1만 년이 걸린다.더 놀라운 사실은 이 세 별 모두가 각각 이중성이라는 점이다. 즉 카스토르는 모두 6개의 별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다중성이다.맨눈으로 보기에는 단 하나의 별이지만 ... ...
놀이공원은 살아있다 .! 힘이 있으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2
어떻게 정지할 수 있는 거지? 고민하던 노라조는 롤러코스터가 커다랗게 한
바퀴
도는 순간 두 과정에도 힘이 숨어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으악, 그런데 나 지금 뒤집혀 있는 거니?!⇣⇣욕심쟁이 롤러코스터가 품은 힘,아찔아찔 중력 찰싹찰싹 자기력 꼭대기까지 올라간 롤러코스터는 중력의 ... ...
끼기긱~ 소음 잡는 조용한 과학鐵
과학동아
l
200702
30~40km까지 강하게 들리지만 그보다 속도가 빨라지면 전동기의 냉각팬이 돌아가는 소음과
바퀴
와 레일에서 발생하는 구름 소음이 더 크게 들려요.”오는 3월에 개통해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을 운행하는 공항 철도의 저소음 전동차는 바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줄이기 위해 ‘뜬바닥 구조’를 ... ...
바퀴
가 만드는 사이클로이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02
cycloid)와 닮았다. 킥보드나 자전거
바퀴
위에 붙은 발광 다이오드를 생각해보자.
바퀴
가 앞으로 굴러가면 발광 다이오드를 붙인 지점도 움직이며 곡선을 그리는데, 이것이 사이클로이드다. 수학에서 사이클로이드는 원이 회전할 때 원 위의 한 점이 그리는 곡선을 뜻한다. 이 곡선은 일정한 주기로 ... ...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02
많다곤충의 변태 중에서 번데기 시기를 거치지 않는 것 하루살이·잠자리·메뚜기·
바퀴
·이 등 하등곤충류에서 많이 볼 수 있다 2중결합 또는 3중결합을 가진 지방산의 총칭 불포화지방산은 2중결합이 많은 만큼 같은 탄소수의 포화지방산보다 녹는점이 낮다2중결합의 위치, 시스-트랜스 이성질체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02
용 등에 채용된다 4wheel steering의 약자 보통 자동차는 핸들로 두 앞
바퀴
를 조작하여
바퀴
의 진행 방향을 바꾼다원인불명의 전신성 육아종성(肉芽腫性) 질환 베크류육종(Boeck 類肉腫)이라고도 한다사르코이도시스 병변의 기본은 전신의 여러 장기에 걸친 비건락성(非乾酪性) 유상피세포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01
위상기하학적(位相幾何學的) 성질을 가진 곡면 곡면 위의 한 점에서 선을 그어 종이를 한
바퀴
돌아 본래의 위치에 돌아오면 최초의 면과 반대면이 되므로 이 곡면은 바깥쪽과 안쪽의 구별이 없는 면(단측면〈單側面〉)임을 알 수 있다곡면의 이러한 성질을 처음 지적한 A F 뫼비우스를 기념하기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