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른곰팡이
푸른곰
팡이
곰팡이
곰팽이
초록
녹색
d라이브러리
"
푸른
"(으)로 총 642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학
과학동아
l
198906
안경을 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현미경을 들여다 보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그 원리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고 있다.10문제중 0~3문제를 맞추면 분발대상, 4~6문제면 보 ... 많이 굴절되는데 붉은 빛은
푸른
빛보다 진동수가 작다. 따라서 렌즈는 붉은 빛보다
푸른
빛을 더 굴절시킨다 ... ...
컴퓨터 그래픽스 디자인 혁명을 가져오다
과학동아
l
198904
전달해야 되는 광고안 마무리 작업에 여념이 없다. "음… 이 부분은 붉은 색상보다 약간
푸른
색상으로 칠하는 것이 더 산뜻해 보이지 않을까?" "이 타이틀을 약간 기울여 조금 크게 하는 것이 훨씬 좋아 보일 것 같군…" 등등 그는 수없이 많은 생각을 하면서 광고안을 손질하고 있으나 이미 그려 놓은 ... ...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8903
태어난 이래 매우 중대한 위기를 맞고 있다. 울창한 숲과 기름진 땅 그리고 넘치는
푸른
바다로 숱한 생물을 키우고 가꿔오던 지구는 인류라는 종(種)의 무모한 생활양식 때문에 마침내 생물이 살기 어려운 행성의 하나로 전락되어 버릴지 모른다.6천만년 전 공룡이 멸종한 이래 지구 자원을 가장 ... ...
타조
과학동아
l
198903
타조 수컷중 큰 놈은 몸 높이가 2.5m 체중이 1백50kg이나 나간다.우리들은 새라고 하면
푸른
창공을 훨훨 날아다닐 수 있는 동물을 연상한다. 따라서 타조 역시 날 수 있으리라고 여기고 있다. 그러나 타조는 날지 못하는 새 가운데 하나이다.날개가 있는 야생조 중에서 날지 못하는 새는 타조말고도 ... ...
연구원 연구결과에 따라 울고 웃으며
과학동아
l
198902
과학기술자들의 솔직한 느낌일 것이다.내가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발전에 이바지한다는
푸른
꿈을 가지고 과학기술원에 들어온 것은 따지고 보면 결코 우연일 수 없는 몇가지 사건들이 있다.70년대 초 당시 과학기술원의 전신인 한국과학원이 설립될 때 우리 아버님께서는 과학원의 교수아파트를 ... ...
첨단건축, 어디까지 왔나 「수직도시」초고층빌딩의 기술세계
과학동아
l
198811
구조는 거대화될 것이다. 이 인공기후공간은 사람이 살지 못하는 황무지나 한랭지에
푸른
숲의 천국을 형성하게 될지도 모른다.마지막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은 농업 특히 수경재배와의 관련성이다. 수셩재배법은 흙을 떠나 농사짓는 방법이므로 결국 건축과의 총합적인 성능이 요구된다. 즉 ... ...
우주에서 가장 오래 머문 사나이 유리 로마넨코 나의 우주생활 326일
과학동아
l
198811
않고 어떠허게 인간의 한계를 얘기할수 있는가.8월 마지막 무렵의 모스크바는 맑게 개인
푸른
하늘의 상쾌한 날씨. 소련 사람들은 이 계절을 '여성의 계절'이라고 한다. 여름이 끝나고 엄동으로 들어가려는 짧은 동안의 맑은 날들이 바로 여심처럼 지나가 버리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는 것이다 ... ...
반(反)물질의 정체는 어떤것인가
과학동아
l
198809
않는다는 의미가 된다 (-E의 해답을 버렸을 때만). 하지만 실제로 우리들이 쳐다보는
푸른
하늘은 빛의 산란에 의한 현상이 아닌가? 따라서 -E 해답을 디락방정식의 물리적인 해답이 아니라고도 할 수 없는 것이다.젊은 천재 디락은 자신의 방정식을 결코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오랜 사색을 거쳐 ... ...
두가지 역할의 갈등
과학동아
l
198807
그런걸 바라는 것은 욕심일까? 2시간쯤 한문제를 붙잡고 끙끙대다가 창밖을 내다보면
푸른
하늘이 있다. 짜증스런 맘을 달래려고 옆에 앉은 친구를 부추긴다. '커피라도 한 잔 마시고 오자.'6층 열람실에서 내려와 커피 한잔씩을 빼어들고 '아크로' 잔디위에 모여 앉은 사람들을 멀찌감치 앉아 ... ...
곧 실용화할 첨단 비행기들 STOL·VTOL·V/STOL의 삼총사
과학동아
l
198806
쥔 수직 수평 변환 과정은 매우 어려운 항공제어기술을 요구하고 있다.그러나 인간은
푸른
창공으로의 비상을 위한 도약을 거듭해 왔다. 여기에는 달왕복과 인력 비행기를 이용한 영불해협횡단 그리고 무정지 세계일주비행 등을 꼽을 수 있다. 앞으로도 보다 새롭고 창조적인 노력은 계속될 것이다.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