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궤도"(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우주를 품은 정십이면체!수학동아 l2016년 01호
- 행성들이 태양주위를 돈다고 믿었고, 이 행성들의 궤도를 설명하기 위해 정다면체를 궤도를 포함하는 구면에 내접시키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비록 케플러의 설명에는 큰 오류가 있어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기하학을 통해 우주를 바라봤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이후에도 정다면체의 대칭성은 ...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가상의 수학자 ‘제임스 모리아티’19세기 빅토리아 시대에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아서 코난 도일’의 추리 소설에는 사설 탐정 ‘셜록 홈즈’와 아프가니스탄 전쟁 ... 코난 도일의 ((주)현대문학, 인트랜스 번역원 옮김),이언 스튜어트 중 ‘궤도의 ... ...
- [News & Issue]일본 금성 탐사선, ‘재수’로 궤도 진입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다 걸기’ 전략이었다. 다행히 아카쓰키는 금성으로부터 400~44만km를 공전하는 타원궤도에 들어설 수 있었다.일본은 이번 성공으로 태양계 행성 주위를 도는 탐사선을 처음으로 갖게 됐다. 아카쓰키는 최대 시속 300km의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금성의 두꺼운 구름을 관측할 예정이다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수소가 실은 양성자로 불리는 핵과 전자로 이뤄져있는데, 특별한 각운동량에 해당하는 궤도로만 전자가 움직이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원자가 핵과 전자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이다. 원자 내부 구조의 발견은 자연의 원리를 보다 깊이 이해하는 ‘양자역학’으로 향하는 단서를 ... ...
- PART1. 영화로 보는 화성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마스 오디세이’와 ‘화성정찰위성’, 유럽우주국의 ‘마스 익스프레스’ 등이 화성 궤도를 돌며 화성 로버인 큐리오시티로부터 정보를 받아 지구로 전달하고 있다.화성과 지구 사이의 통신 시간은 지구와 화성 간의 거리에 따라 다르다. 2015년 10월 현재 지구와 화성 사이의 거리는 약 3억 5000km로, ... ...
- 올 추석엔 슈퍼문과 블러드문이 동시에?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지구와 달은 평균 38만km정도 떨어져 있지만, 타원 궤도 중 지구와 가까운 곳에 오면 지구와 달의 거리는 약 36만km까지 가까워지죠. 이때 지구에서는 달이 가장 커 보인답니다. 게다가 이때 태양이 지구를 중심에 두고 달 반대편에 있으면 지구에서는 가장 큰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현재 초속 13km로 카이퍼 벨트를 향해 날아가고 있어요. 카이퍼 벨트는 해왕성 궤도 바깥쪽에 있는 얇은 도넛 모양의 영역을 말해요. 1949년 아일랜드의 천문학자 에지워스와 1951년, 미국의 천문학자 제러드 카이퍼가 가설로 예측한 영역으로 이곳에 천체들이 모여 있다고 생각했어요. 이후 관측 기술의 ... ...
- 명왕성의 진짜 얼굴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다가간 거예요.뉴호라이즌호는 2006년 1월 19일에 발사된 이후 9년 6개월이나 걸려 명왕성 궤도에 도착할 수 있었어요. 7월 8일부터 본격적으로 명왕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모으기 시작해, 7월 14일에 명왕성에 가장 가까이 다가갔지요. 그리고 그 뒤엔 다시 멀어지고 있답니다. 앞으로 명왕성에서 ... ...
- 풍선으로 띄우고, 우주로 보내고~ 새로운 인터넷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2014년 MIT(미국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와 NASA는 레이저와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달 궤도 위성과의 통신에 성공했답니다.연구팀은 미국 뉴멕시코주에 있는 전파망원경 네 대로 강한 레이저를 쏘아 지구에서 38만km 떨어진 인공위성에 보냈어요. 인공위성은 이 레이저를 수신한 뒤, 잘 받았다는 답을 다시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전자의 자기 모멘트를 구할 수 있다. 이를 보어 마그네톤이라고 한다(INSIDE 참조). 궤도운동을 하는 전자가 가질 수 있는 가장 작은 자기 모멘트 값이다.보어의 원자모형은 이처럼 많은 난제를 해결했지만, 여전히 이론적으로는 논란이 있었다. 슈뢰딩거와 하이젠베르크가 양자역학을 완성한 뒤에야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