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앉은자리
즉석
d라이브러리
"
당장
"(으)로 총 1,20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쁠 때 함께 웃어주는 감정 로봇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뜻입니다. 하지만 이런 ‘인공뇌’가 완성되기를 마냥 기다리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당장
완벽한 인공지능이 태어나기 어렵다면, 불편한 진실에 기대더라도 ‘쓸만한’ 로봇을 계속 개발해야 하니까요.지능을 완전히 만들어 주는게 어렵다면, 먼저 지능으로 표현되는 ‘감정’부터 개발하려는 ... ...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것이다.시간지연 효과와 쌍둥이의 역설빛의 속도가 누구에게나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당장
확인해 볼 수 있는 논리적인 결론이 나온다. 움직이고 있는 관찰자(가령 기차나 우주선)가 정의하는 ‘동시’와 멈춰 있는 관찰자(가령 플랫폼이나 우주정거장)가 정의하는 ‘동시’가 달라진다. 어느 쪽이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빛이 새어 나온다. 형광 빛의 세기를 검사한 의사는 “혈당 수치가 많이 내려갔으니
당장
포도당 주사를 맞아야 한다”고 진단을 내렸다.환자의 혈관으로 들어간 것은 혈당치가 위험한 수준까지 내려가면 알려주는 스마트 문신이다. 염료 안에는 포도당에 반응하는 물질과 빛을 받으면 형광색을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증상은?흠…. 진찰을 해 보니 꿈이 현실이 될 수도 있겠군요. 지금 당신은 많이 아파요.
당장
치료해야 해요! 이대로 두면 당신과 인류 모두 위험해요!2011 지구 진찰 진단서이름 지구 나이 45억 살병명 심각한 오염과 에너지 고갈로 인한 건강 악화.진료 의견 열과 탄소 농도가 높음. 땅이 메말라 가고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직접적인 모순을 일으키지 않는다.3 상대성 이론이 붕괴할까오페라 실험 하나로 지금
당장
상대성이론이 붕괴되진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앞으로도 상대성이론을 따르지 않는 관측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열려있다. 모든 시공간에서 상대성이론이 절대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 지난 100여 년간 ... ...
머리에 인공지능, 가슴엔 분자엔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안에 이미 존재하는 나노 기계를 들먹일 수 있다.”물론 두 책 모두 비판할 대목은 있다.
당장
이 책을 교본 삼아 의식을 백업하거나 유전자처럼 복제하는 단백질 기계를 만들 수는 없다. 방법을 제시하는 책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측할 수 없는 부작용은 더 근본적인 문제다. 드렉슬러조차 “나노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시멘트도 만들고 플라스틱도 만든다고? 으악! 고스트 헌터의 호기심을 자극하는군.
당장
알아봐야겠어!이산화탄소로 다시 연료를 만든다?연료를 태우면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가지고 그 반대의 과정을 거치면 다시 연료를 만들 수 있어. 이산화탄소를 재활용하는 거지.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CO₂)에 ... ...
특허를 갖는 자가 시장을 지배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판결이 난 소송은 판매금지 가처분 사건이다. 판매금지 가처분은 특허를 보유한 기업이
당장
피해를 받고 있을 때 이를 구제하기 위해 임시로 적용하는 조치다.실제로 특허를 침해했는지, 손해액이 얼마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본안소송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 가처분 신청도 특허 침해 ... ...
[수학클리닉] 확률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계단씩 단계를 밟아 올라가다 보면 누구나 실력을 높일 수 있는 학문이거든요. 비록 지금
당장
옆 친구보다 나의 실력이 부족할지라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다 보면 분명 여러분의 노력이 빛을 발하는 날이 반드시 올 겁니다.1%의 가능성이 있는 일에 100번 도전했을 때 적어도 1번 이상 성공할 ... ...
“우리 부부는 뇌가 2개나 있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때를 물었다. 김 교수는 ‘박사 과정 막바지’를 꼽았다. “답답한 시기였어요. 결과는
당장
안 나오고. 아내는 참 빨리 했는데(웃음). 그저 묵묵히 하는 수밖에 없었죠. 한번 견디는 힘이 생긴 건지 그 이후에는 못 견딜 일이 없었어요.” 백 교수는 “서울대에 교수로 처음 부임했을 때”라고 말했다.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