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d라이브러리
"
밑
"(으)로 총 1,885건 검색되었습니다.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살고 있다. 사과나 복숭아 과수원의 골칫덩어리인 복숭아순나방 애벌레는 사과 표면
밑
으로 길을 내고 돌아다닌 흔적과 조그마한 구멍을 찾으면 된다.나방은 나비보다 아름답다가을이 깊어갈 즈음 더 이상 애벌레 찾기가 불가능해지면 불러 모으는 방법도 있다. 올이 굵은 볏짚 새끼줄을 나무줄기에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가지를 태워 만든 숯을 갈아 목탄을 만들고, 황은 왜인을 통해 구입한다. 처마
밑
흙을 모아 가열한 뒤 염초만 골라내면 준비 완료! 이제 목탄 한 숟가락, 유황한 숟가락 반, 염초 일곱 숟가락 반의 일정한 비율로 섞어 화약을 만든다. 일정한 비율로 재료를 섞어야만 화살은 추진력을 얻어 날아갈 수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숫자나 문자를 지수라고 한다.특히 10진법을 쓰는 사람에게 매우 큰 수나 작은 수는
밑
을 10으로 해서 나타내면 매우 편리하다. ‘태양의 지름은 1.392×106km이다’‘감마선의 파장은 1×10-10m보다 짧다 ‘산소의 분자량이 32라는 것은 산소 32g에 6×1023개의 산소 분자가 포함돼 있다는 의미다’ 와 같은 ... ...
Part 1. 변기물을 내리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본 뒤 변기물을 내리면 변기 안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수세식 변기의 손잡이를
밑
으로 내리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마개줄이 물통 바닥에 있는 사이펀 마개를 들어 올린다. 막혔던 마개가 열리면 수압과 중력에 의해 물통에 담긴 약 12L의 물이 변기로 쏟아져 나온다. 물이 빠져나가 물통의 ... ...
촉촉한 똥은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관찰하면 주변에서 얼쩡거리는 애벌레들을 발견할 수 있다. 잎 뒷면이나 줄기 또는 땅
밑
의 돌 틈도 애벌레를 발견할 수 있는 좋은 장소다.애벌레의 존재는 식물을 먹은 흔적(식흔)뿐만 아니라 주변에 떨어진 배설물을 보고 찾을 수 있다. 물기 있는 촉촉한 똥은 100%다. 산누에나방과, 솔나방과나 ... ...
팔딱팔딱! 민물고기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가까이를 헤엄치다가 위협을 느끼면 바위 틈으로 숨는다. 5월 초~6월 중순에 알을 낳아 돌
밑
에 알을 붙인다.칼납자루몸이 녹갈색을 띄며 큰 눈을 가졌다. 물풀이 많은 하천 하류나 얕은 시냇가에 작은 무리를 이루며 산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 주둥이에 하얀 돌기인 ‘추성’이 생겨 암컷을 유인한다. ... ...
제2회 과학일러스트공모전 수상작 - 스마트 그린, 스마트 그리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몰디브나 투발루 같은 작은 섬나라들은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 머지않은 미래에 바다
밑
으로 사라질 땅의 비극을 그렸다.최우수상 생명의 나무를 가꾸자! | 서승환지구에 뿌리를 둔 생명의 나무는 원핵생물부터 시작해 척추동물을 거쳐 인간에 도착한다. 인간이 생명의 나무에 물을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끊임없이 관측하고 또 개발하고 있어요. 특히 석유를 채취하기 위해 바다 지각
밑
에 구멍을 뚫는 시추 기술이 점차 발달하면서 점점 깊은 곳에서 자원을 개발할 수 있는 길이 열리고 있답니다.로봇 집광기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깊은 바다에서 심해저 자원을 캐기 위해서는 로봇 집광기가 반드시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빗물관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물을 잡아두고, 토양에 흡수하거나 발산한다.먼저 건물
밑
지하 공간에 작은 크기의 빗물 저류조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대규모 저류 시설에 비해 홍수예방 효과가 크고, 빗물을 다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기 수원시와 소방방재청은 수원의 한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애벌레가 ‘wooly bear’로 불리는 까닭도 북술북술한 많은 털 때문이다. 돌 틈이나 수피
밑
등 노출된 공간에서 추운 겨울을 나야 하는 애벌레에게는 두텁고 빽빽한 털이 털외투의 기능을 한다. 뾰족하고 날카로운 가지에 두툼한 가시와 털이 달려있는 종류는 네발나비아과와 표범나비아과의 나비와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