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면
쌍방
겸용
둘다
옆
옆면
측면
d라이브러리
"
양쪽
"(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수학으로 마술하기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방법도 자세하게 적혀 있었다. 그대로 따라 해봤다. 식빵을 대각선으로 자른 다음 식빵
양쪽
모서리에서 가로 1cm, 세로 1cm로 잘라서 먹었다.대각선으로 자른 빗변을 따라 식빵을 움직이면 식빵은 놀랍게도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왔다. 가로 11cm, 세로 10cm로 원래의 식빵을 반시계 방향으로 90° 눕힌 ... ...
미국의 퍼즐 고수와 대결하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그럼 한번 풀어 보쇼. 강이 하나 있는데 서로 반대쪽에 두 척의 배가 있소. 이 배가 각각
양쪽
부두를 출발하여 반대쪽을 향해 간다고 합시다. 한 척은 다른 한 척보다 속도가 빠른데, 두 척의 배는 한쪽 부두에서 600m 되는 지점에서 서로 스쳐지나가오. 목적지에 도착한 배는 10분 동안 정박한 뒤 다시 ... ...
신종플루, 수학이 막는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공간에는 갈 수 없다.② 서로 영역을 확장해 나가다가 만날 때는 경쟁하지 않는다.③
양쪽
에서 흰 개미들이 가운데 공간을 뚫고 경쟁한다면 둘 중 먼저 간 쪽이 영역을 차지한다.④ 숫자는 곳곳에 장애물이 있을 때 각 경로로 이동해 갈 확률이다 ... ...
수학은 남자가 잘한다 vs 환경 탓이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남학생과 여학생의 수학 성적이 비슷했습니다.진실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채
양쪽
의견은 서로 대립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남자가 여자보다 수학에 유리하다’는 편견이 널리 퍼져있지요. 이 속설이 사실인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나라의 남녀평등지수를 선진국 ... ...
세계적 여자 육상선수 세메냐, 결국 남자?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부족함이 없어 보였다. 하지만 그녀는 생리를 하지 않았다. 무엇보다 그녀의 아랫배
양쪽
에는 만지면 잡히는 덩어리가 있었다. 검사결과 놀랍게도 아랫배에서 만져진 것은 고환이었다. 또 염색체는 46XY로 나타났다. 그는 외형적으로 완전히 여성이지만 염색체가 46XY인 남성이었던 것이다.성분화 ... ...
한 권으로 읽는 거대한 우주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교수는“협력은 강제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생기는 것”이라며 “
양쪽
의 관계가 계속 지속된다는 전제 아래에서만 협력이 이뤄진다”고 결론 내렸다.장기적인 관계에 놓이면 누구나 각자의 욕심만을 부리기보다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편이 훨씬 이득이라고 계산하기 때문이다 ... ...
옮기고~ 뒤집고~ 돌리고~ 도형을 춤추게 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위해 대칭 도형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아파트 도면을 보면 엘리베이터를 기준으로
양쪽
집의 평면도가 대칭인 것을 볼 수 있다. 서로 마주보며 크기와 모양이 같은 두 집을 디자인할 때하나의 평면을 완성한 다음 그것을 대칭해서 사용하면 훨씬 경제적이기 때문이다.상징적인 기호를 만들 때 ... ...
“친환경 솔라보트 시대 주춧돌 되겠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반짝반짝한 태양전지가 200개나 빼곡히 붙어 있다. 구명조끼를 입은 팀원 두 명이 배를
양쪽
에서 들고 물로 풍덩 들어갔다. 그들이 배를 고정시키고 있을 동안, 팀에서 가장 가벼운(?) 조정은(충남대 선박해양공학과 3학년) 씨가 배에 올라타 배터리를 싣고 출발하기 위한 최종점검을 했다.드디어 출발.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연구원은 “렌티큘러 시트는 사진 위에 병렬로 정렬된 마이크로 렌즈의 굴곡에 따라
양쪽
눈이 서로 다른 이미지를 보게 해 입체영상을 재현한다”고 설명했다. 한국 후지필름에 이미지 테이터를 보내면 3D 프린트 입체 사진을 받을 수 있다. 후지모토 연구원은 “3D 카메라는 인간의 시각체계를 ... ...
‘우주 나비’ 찍은 허블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것이다. 사진 가운데 등장하는‘나비 성운’은 지구에서 3800광년 떨어져 있다.나비가
양쪽
으로 한껏 날개를 펼친 듯한 모양새로 널리 알려진 성운이다. 중심부 별의 온도는 현재까지 알려진 별 가운데 가장 뜨거운 25만℃에 이르며 현재 죽어가고 있다.은하의 집단인 ‘스테판의 5중주’도 공개됐다.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