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절
어린
d라이브러리
"
어린시절
"(으)로 총 76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노벨상 수상자 발굴하는 연구대회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각종 수학∙과학경시대회가 붐을 이루고 있는 요즘. 그러나 대개의 경시대회는 그저 몇시간 동안 학생의 문제풀이 능력을 평가할 뿐이다. 과연 미래 과학자의 자질이 그런 것일까.최근 학생들이 참여하는 각종 과학관련 경시대회가 붐을 이루고 있다. 대회 입상이 곧 대학입학의 지름길이 되기 때 ... ...
파멸로 치닫는 투명인간의 욕망 할로우 맨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만일 내가 투명인간이 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영화‘할로우 맨’은 어린 시절 누구나 한번쯤 꿈꿔봤던 투명인간 이야기를 화려한 특수효과와 함께 실감나게 그려낸 작품이다. 지난 5월 11일 오후 6시 30분에 시작한 이번 방담회에는‘정재승 박사의 사이코 시네마’로 잘 알려진 고려대 물리학 ... ...
향수감별사가 손 휘저으며 냄새 맡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혀의 온도가 변하면 느끼는 맛이 변하고,냄새에서 벗어나야 냄새를 맡을 수 있다?말도 안되는 것 같은 이런 얘기들이 과학자들에 의해 증명되고 있다.최근 발표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인간의 상식을 뛰어넘는 오감의 신비를 파헤쳐 보자.눈동자의 움직임에 따라 청각신호가 변하고 혀의 온도를 ... ...
심해저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프랑스 작가 쥘 베른이 지은 세계 최초의 해양과학소설‘해저 2만리’. 어린 시절 누구나 한번쯤 이 소설을 읽으며 깊은 바닷속에 펼쳐진 신세계를 꿈꿔봤을 것이다.그런데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간이 해저 세계를 직접 탐험하는 일은 더이상 공상이 아니다. 눈앞에 펼쳐진 신세계 심해를 밝히 ... ...
3차원 입체사진, 애너글리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2차원의 평면에 3차원의 공간을 집어넣는 방법이 여러가지 있다. 그중에서 가장 쉽게 만들어볼 수 있는 것은 애너글리프다. 애너글리프는 왼쪽에 빨강, 오른쪽에 파랑인 안경을 끼고 보는 입체사진이다. 첨단기술의 집합체인 NASA에서 애너글리프를 이용한다는데….환상적인 화성 사진을 구하고자 ... ...
음식에 대한 극단적인 거부와 집착 301 302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인간의 생존을 위한 먹는 행위마저 혐오하게 되는 심각한 정신질환. 바로 거식증과 폭식증이다. 날씬한 몸매를 강요하는 남성 위주의 사회분위기 속에서 여성은 피해자가 되고 있는데….복잡한 현대 사회에서 음식은 단순히 먹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아이들은 뭔가 불만이 있거나 투정을 부 ... ...
신의 선물에 만족하지 않은 인공효소 개척자 서정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밥을 먹고 2시간이내에 일어나는 소화, 이산화탄소를 몸밖으로 배출하는 호흡, 새로운 세포 만들기와 같은 생명현상은 효소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그런데 신이 만들어준 그 효소가 할 수 없는 일들이 생겨나고 있다. 인간이 새로운 효소를 만들어내야 하는 이유다. 그리고 그 출발선 위에 서정헌 교 ... ...
폭력과 자기파괴 일삼는 파월장병 하얀전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영화‘하얀 전쟁’에서 이경영은 전쟁을 연상시키는 작은 단서만으로도 공포와 불안을 느끼는 전쟁후 증후군 환자 역할을 실감나게 연기한다. 정신적 스트레스가 뇌의 생리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전쟁후 증후군이 사람들의 관심 반열에 등장하게 되는데….20세기는 ... ...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요!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이 책의 원제는‘Surely You're Joking, Mr.Feynman!’(Bantam Books, 1985)으로, 파인만과함께 드럼을 치던 오랜 친구 랄프 레이튼이 구술형태로그의 삶의 단면들을 정리한 책이다. 여기엔 한 천재 물리학자의 명성 뒤에 숨겨진 진솔한 인생 이야기가 담겨있다. 출간된 이래 미국과 전세계에서 10여년 간 베스트 ... ...
'사이빌'에 등장한 16개 인격체 가진 여성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인격 상태에 대해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다중인격 장애로 보는 편이 낫다.
어린시절
충격에 대한 방어 메커니즘다중인격 장애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정신 작용에 관해 잘 알지 못하던 1700년대만 해도 이런 장애는 ‘악마에 사로 잡혀서 생기는 현상’으로 보았다. 그러나 정밀한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