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아
어린애
소아
젖먹이
어린이
꼬마
꼬마둥이
d라이브러리
"
어린아이
"(으)로 총 664건 검색되었습니다.
피플미터식 무엇이 장점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리모콘을 꺼 줄 것인가.② 시청자가 정확히 자신의 고유버튼만을 눌러 줄 것인가.③
어린아이
들이 장난으로 버튼을 자주 누르는 것에 대한 대비책은 있는가.④ 많은 방문객이 함께 TV를 시청할 때 모두 수용할 수 있는가.⑤ 주부가 TV 앞에 계속 있지 않고 돌아다니며 조금씩 보는 경우의 처리 방식은 ... ...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여러 장면에 적용됐다. 악당들에게 유괴된 뒤 터널에서 강제로 노동을 하고 있는
어린아이
들을 구출하는 장면이 있다. 영화의 절정부분이다. 이 장면을 묘사하려면 실제 인물들의 모형을 제작한 뒤 스톱 모션(stop motion)을 응용한 애니메이션(animation)기법과 미니어처(miniature)세트 그리고 스크린 ... ...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새 교과서가 아무리 좋은 과학적 내용을 담고 있다해도 일선교사가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그 알맹이는 학생들에게 제대로 전달될 수 없다.눈앞에 다가온 2천년대, 한국이 과학기술선진국으로 발돋움하려면 '전국민의식의 과학화'가 우선돼야 한다는 주장이 부쩍 강해지고 있습니다. 오늘날 대다수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밤하늘 별을 보며 아름다움을 느껴보지 못한 사람은 거의 없으리라. 또한 학창시절 사랑의 감정을 별을 통해 전해 보지 않은 사람 또한 거의 없으리라. 우리네들 삶이 젊은 시절 그렇게 메마르지 않았다는 증거이리라. 그러나 나이를 먹게 되면서 어느 순간,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을 단지 ... ...
무정류자 모터 개발로 일어선「기술벤처」대표 정영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세상에 태어난 발명품이 뜻도 못 펴 본채 죽지 않으려면 기업화가 될 수 있는 단계까지
어린아이
기르듯 보호하고 다듬어야 한다는 뜻을 강하게 품고 있다. 그가 이런 생각을 갖게 된 데는 나름의 쓴 경험이 크게 작용했다.몇년전 자신의 무정류자모터 아이디어를 어느 중소기업에 넘겨 그 기업이 ... ...
무등천문대세워「별사랑 꿈」펼치자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전라남도 지방의 천문인들이 모여 '별사랑'을 키우면서 어린 싹들을 발굴, '밤하늘의 정서'를 보급하고 있다.'별보는 일'에 관한 한 불모지나 다름 없었던 전라남도 지방에 새싹이 힘차게 돋아나고 있다. 4, 5년 전부터 '우리도 한번 천문운동을 해보자'는 자연스런 움직임이 결실을 맺어 이제는 광주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60년대 이전만 하더라도 심한 춘궁기와 추궁기가 있었기 때문에 결식아동이 많았다. 이때
어린아이
가 영양실조에 걸려 심하게 여위면 황소개구리를 잡아 그 다리고기를 삶거나 구어 먹였다. 그러면 신기하게도 영양이 호전됐다. 이런 경우 개구리고기가 '건강식이냐, 약물이냐'의 논란이 있을 수 ... ...
맨발로 지내는 것이 최상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있다. 심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다.1960년대 이전에는 소아마비란 병이 꽤 자주 있어서
어린아이
들의 발에 근육마비를 일으킨 경우가 많았다. 최근 얼마전부터는 우리나라도 경제사정이 좋아지고 의학도 발달해 선진국 형의 문제가 많아졌는데 다름아닌 뇌성마비 환자가 바로 그것이다. 이는 ... ...
이성주 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어렵게만 느껴지는 천문교육도 직접 현장에 나가 관측하면서 공부하면 그렇게 쉽고 재미있을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과목에는 천문학이 따로없다. 중학교에는 과학에, 고등학교에는 지구과학 과목에 포함돼 있을 뿐이다. 더군다나 행성들의 움직임을 공부하고 별들의 운동을 이해하 ... ...
꼬막과 피조개는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반지락 백합과 함께 서해안의 조간대와 모래 섞인 개펄에 서식한다. 그리고 된장국에
어린아이
의 손바닥만한 조개의 살을 잘라 넣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서남해안에 많이나는 개조개다.식용으로 쓰는 패류로 홍합(Mytilus coruscus)을 뺄 수 없다. 큰 것은 길이가 15㎝가 넘으며 주로 동남해안의 수심 20m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