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d라이브러리
"
오른쪽
"(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솔방울의 주위를 돕니다. 포엽의 배열을 자세히 살펴보고 왼쪽으로 돌아가는 나선과
오른쪽
으로 돌아가는 나선의 수를 각각 세어 보세요. 피보나치 수가 보이시나요?피보나치 수는 나무의 가지가 자라는 패턴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새로운 가지가 돋을 때 가지의 수가 피보나치 수를 유지하는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언어인 ‘베릴로그’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논문에 나온 소스코드 자체는 간단하다(
오른쪽
사진). ‘이 정도면 나도 할 수 있겠는데?’라는 생각에 기자가 무턱대고 유전자 설계에 도전해보기로 했다.코딩하고 유전자 부품 설계하면 끝!연구팀이 만든 첼로 홈페이지3)는 사용자가 직접 첼로를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밥이 딱딱하게 굳어 있다. 근전도 센서와 동작 마커를 붙인 채 서서 작업하는 모습(
오른쪽
). 특수 제작된 신발로 발압이 어떻게 변하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최근에는 실험동물로 마우스가 각광을 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초파리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많다. 성장 속도가 빨라 표현형을 ...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소리만 듣고도 원샷 원킬!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때문이에요.소리의 방향을 알려주는 방법은 간단해요. 폭탄이
오른쪽
에서 터진다면
오른쪽
스피커에서 소리를 내면 되거든요. 또 소리를 비교적 크게 내면 가까운 곳에서 폭탄이 터졌다고 알 수 있겠지요.개발자들은 좀 더 실감나게 소리를 연출하기 위해서 먼 곳에서 폭탄이 터질 때 주파수(진동수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흐름이 제트기류처럼 토카막의 단면을 원형으로 휘감으며 만들어지는 경우(아래
오른쪽
) 난류가 억제되고 에너지 감금시간이 늘어나 핵융합 성능이 증가하게 된다. 최근의 핵융합 연구는 이런 지그재그 형태의 플라스마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고성능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고대하고 있습니다.안녕하세요. 저는 프놈펜왕립대 물리학과 2학년 놈 살림입니다. 제
오른쪽
은 카트 다빈과음 스레이치입니다. 저희는 지금 임채호 물리학과 교수님이 강의하는 양자역학 수업을 듣고 있습니다. 이 자전거는 다빈이 통학할 때 이용하는 거예요. 저희 모두 이렇게 자전거를 타고 집과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바늘 두 개가 미세하게 움직였다. 그는 익숙한 솜씨로 왼쪽 바늘로 난자를 붙잡고
오른쪽
바늘로 난자를 찔러 핵을 제거했다. 그리고 그 자리에 미리 채취해 둔 복제할 개의 체세포를 넣었다. 상대적으로 털이 적은 귀에서 떼어낸 세포였다. 마지막으로, 전기 충격을 줘서 완전히 융합했다. 남 ... ...
거꾸로 푸는 역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검출할 수 있다면, 이를 분석해 초기 우주 탄생의 비밀을 알아낼 수도 있다.중력파는
오른쪽
그래프처럼 ‘파형’으로 관측된다. 시간에 따라 시공간이 흔들리는 모양을 관측한 것이다. 이 파형에는 다양한 요소가 섞여있다. 이번 중력파 검출에서 얻은 의미 있는 요소는 15개로 블랙홀의 질량,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건
오른쪽
발만 바깥쪽을 향하는 팔자 보행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경우 대부분
오른쪽
다리에 염증이나 질환이 있을 확률이 높다. 발목에 지속적인 통증이 있는 경우 정상적인 보행이 어렵다. 염증이 없는 다리에 힘을 더 싣게 되고, 나머지 한쪽 다리는 상대적으로 근육을 풀고 걷기 때문에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날아가는 우주선과 지상에서 동시에 특정한 빛의 움직임을 관찰한다고 생각해 보자(
오른쪽
그림).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면 뭔가 혼란스러워진다. 같은 시간 동안 같은 속도로 이동했는데 관측자가 본 빛의 궤적은 다르다. 직선과 곡선이다. 이동한 거리가 달랐다는 말이 된다. 납득하기 어려운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