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확"(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있다.김 교수는 “멀티오믹스를 활용하면 인간의 생애주기에 따라 각 기관과 조직별로 정확한 유전체 지도와 단백체 지도를 만들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밝혀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최근에는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미국국립보건원(NIH) 국립암센터(NCI)에서 주도하는 국제암유전단백체 컨소시엄(ICPC ... ...
- [이슈] 헷갈리는 꼭짓점의 정의, 각뿔의 꼭짓점은 하나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만나는 점이 아니니까요.‘원뿔의 꼭짓점’은 원뿔에서 뾰족한 점으로 1개예요. 더 정확하게 말하면 원뿔의 전개도에서 부채꼴의 중심이에요. 그래서 꼭짓점의 정의에 대해 다시 알아보게 됐고, ‘각뿔의 꼭짓점’은 삼각뿔을 제외하고는 언제나 한 개라는 글을 보게 됐어요.혼란의 시작은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특히 합성곱신경망 덕분에 이미지 인식 AI가 빠르게 발전했고, 덕분에 내 시력은 날로 정확해지고 있지. 그렇다면 합성곱신경망과 같은 알고리듬에는 어떤 수학이 필요할까? 전문가에게 들어볼게. 수학은 문제를 표현하고 해결하기 위한 기본적인 도구예요! 이미지 인식 AI를 어떤 분야에 사용할 ... ...
- [기획] 외계인도 답을 모르는 수학 난제, 램지 수를 구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팔은 이런 말을 했지. “외계인이 지구에 쳐들어와서 ‘1년 안에 램지 수 R(5,5)를 정확하게 구하지 못하면 지구를 파괴하겠다’고 위협하면 전 세계 수학자와 가장 빠른 컴퓨터를 동원해서 그 값을 구해야겠지만, 램지 수 R(6,6)을 구하라고 한다면 외계인과 싸워야 한다.”수동 : 오, 에르되시는 ... ...
- 마스크로 가릴 수 없는 진심 '표정'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쓴 남성들의 얼굴 이미지를 제시하고 마찬가지로 상하·좌우 반전 이미지의 인식 정확도를 측정했다. 실험 결과, 마스크는 참가자들이 얼굴을 인식하는 능력을 평균 15%가량 떨어뜨렸다. 재밌는 건 마스크를 쓰지 않은 얼굴 이미지는 상하·좌우 반전시켰을 때 인식률이 상대적으로 크게 떨어진 반면,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뇌질환은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꼽힌다. 하지만 정확한 발병 원인은 물론 제대로 된 치료법을 찾지 못한 병이 대부분이다. 인류가 풀어야 할 난제 중 하나로 뇌질환 극복이 반드시 꼽히는 이유다.이런 가운데 기존과 다른 전혀 새로운 관점에서 뇌질환 극복을 ... ...
- JOB 돋보기, 어떤 일을 하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수 있어요. 환자에게 사용하는 약의 적정량을 정할 때도 수학이 쓰여요.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기 위해선 수학을 빼놓을 수 없답니다.(IU/L 호르몬, 비타민, 약물 등 어떤 물질이 효과를 보이는 양을 의미해요.) 소스 개발자 │맛있는 소스를 만드는 비결은 ‘수학’이죠 ... ...
- [이슈] 위기탈출! 세 단어 주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세 단어 주소가 필요한 이유는 뭔가요?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정보 시스템인 GPS만큼 정확하면서도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주소를 만들고 싶었어요. GPS 주소를 말하려면 “40.7127753, -74.0059728에서 만나”라고 해야 하거든요. 숫자보다는 단어가 기억하기 쉽죠. 어떤 단어가 어떻게 짝을 ... ...
- [하야부사 2호] 왜 류구를 찾아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있어요. 탐사선을 통해 직접 소행성을 들여다보고 샘플을 채취해 분석한다면 보다 정확한 연구를 할 수 있지요.류구는 소행성 중에서도 C형 소행성에 속해요. ‘C형 소행성’은 탄소질 광물로 이루어졌고 물과 유기물을 지녔으며, 초기 태양계와 지구 생성, 생명의 진화에 관한 중요한 단서를 갖고 ... ...
- [쇼킹 사이언스] 2000년간 보존된 인간의 뇌, 그 비결은 유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지평이 넓혀졌다”고 말했어요. 연구팀은 후속 연구로 이번에 유해가 노출됐던 열기의 정확한 온도, 화산재가 식을 때의 냉각 속도를 알아내서 어떻게 유해의 뇌가 유리 상태로 변했는지 자세히 알아볼 예정이에요. 그리고 유해의 세포를 통해 유전자 분석을 할 것이라고 밝혔답니다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