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소설] AI 마이너스 알츠하이머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벤치 아래 흙에 11을 죽죽 긋다가, 지웠다가 했다. 이 사이드 프로젝트가 이렇게 흘러올 줄 몰랐고, 앞으로도 어떻게 흘러갈지 솔직히 알 수 없었다. 내가 무엇을 만들고 있는지 자신이 없으면서, 포기하기 아쉬웠다. 이것도 저것도 아닌 흙탕물 같은 마음이 천천히 가라앉을 때까지, 우리는 바닥을 ... ...
- [기획] 항바이러스제, 꼭 필요하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바이러스는 숙주 몸에 침입해 증식을 위해 세포 속에 들어갑니다. 그리고는 자손에게 줄 유전체를 복제하고 단백질을 만들지요. 이러한 생활사 중 머크의 치료제는 유전체 복제 단계, 화이자의 치료제는 단백질 완성 단계를 방해하는 게 목적입니다. 반면에 현재 코로나19 백신은 대부분 바이러스 ... ...
- [특집] 주인공은 수학 천재! 수학 콘텐츠가 뜬다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우리나라 드라마, 영화에 나온 주인공들이에요.수학은 학교에서나 배우는 필수과목인 줄 알았는데, 대중문화에서도 수학을 이렇게 많이 다루고 있다니 놀랍지요? 이런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 기자와 함께 그 이유를 찾아봐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주인공은 수학 천재! 수학 ... ...
- 회전력으로 만드는 전기, 적정기술 ‘나우라이트’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돌아간다. 이때 생성된 운동에너지로 전력을 만들어 전구에 전원을 공급한다. 1분 동안 줄을 당기면 내부에 장착된 3200mAh(밀리암페어시) 배터리가 충전돼 2시간 동안 빛을 낼 수 있다. 나우라이트 디자인에 참여한 크리스 스킬톤 데시와트 최고경영자(CEO)는 “160lm(루멘) 수준 빛도 제공할 수 있어 ... ...
- [특집] 혹시 당신은 디지털 과의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걱정이에요. 스크린 시간 제한을 걸어 보기도 했지만, 소용없네요. 어떻게 하면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까요? 이진석 선생님의 금쪽 솔루션!적절한 디지털 사용량을 찾는 ‘디지털 밸런스 조절’이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선 ‘디지털 밸런스 일기 쓰기’를 실천해 보세요. 주로 사용하는 앱별로 ... ...
- [헷갈린 과학] 멜로디와 리듬 사이 전기 기타 vs 베이스 기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낮은음을 담당합니다.베이스 기타의 줄은 전기 기타의 줄보다 굵어요. 줄이 굵을수록 줄을 칠 때 발생하는 진동이 느려집니다. 그 때문에 베이스 기타는 전기 기타에 비해 낮은 소리를 내지요. 대신 진동이 느리면 파장이 길어져 베이스 기타 소리는 전기 기타 소리보다 멀리 퍼져나가요.베이스 ... ...
- [특집] 콘텐츠 인기 순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매출 예측도 할 수 있어서 제작비를 얼마나 투입할 것인지 의사 결정을 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어요. 할리우드도 직관보다는 데이터 천문학적인 제작비를 투입해 영화를 만드는 할리우드에서는 이미 10여 년 전부터 ‘수학’을 이용한 AI 모형으로 흥행을 예측하고 있어요. ... ...
- [발칙한 역설] 제4장. 러셀의 일격수학동아 l2022년 04호
- 가졌던 프랑스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는 쾌재를 불렀지만, 집합론이 수학의 기반을 마련해줄 것이라 믿은 다비트 힐베르트, 주세페 페아노 등의 수학자들은 심각한 고민에 빠졌죠. 그중에서도 가장 큰 충격을 받은 사람은 단연 프레게입니다. 러셀의 편지를 받고 좌절한 프레게가 출판사에 자신의 ... ...
- [함께해요, 로블록스 코딩] 점프맵 만들기 3. 밟으면 아웃! 함정 발판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따라서 게임에 계속 변화를 줘야 해요. 점프맵에서는 발판에 규칙을 부여해 변화를 줄 수 있어요. 지난 시간에는 점점 투명해지는 발판을 만들었는데요. 이번에는 발판에 무언가 닿으면 점점 투명해지다가 2초 후 사라지는 발판과 플레이어가 밟으면 게임에서 죽는 발판을 만들어 볼게요. 플레이어 ... ...
- 겁쟁이, 꼬맹이, 또는 변덕쟁이... 암흑물질을 낚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수 있다. 지하에 검출기를 설치하면 방사선이나 우주 입자가 원자핵과 충돌할 확률이 줄어든다. 이렇게 해서 암흑물질의 신호만 잡아내겠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이탈리아 그랑사소산 지하 1400m에는 세계 최고 민감도의 제논(XENON)1 T실험이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 강원 양양에서도 기초과학연구원(IBS)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