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대학교
중앙대
중대
d라이브러리
"
중앙대학
"(으)로 총 72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4 소피아 안티폴리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지중해 연안에 자리잡은 소피아 안티폴리스는 유럽 전역에 첨단기술을 공급하는 국제 연구단지다.만년설이 덮인 알프스산록까지 자동차로 2시간 거리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휴양지의 하나인 지중해까지는 불과 15분. 이 두 곳을 같은 계절에 즐길 수 있는 곳이 프랑스 동남부의 연안 칸과 니스 사 ... ...
그래픽과 통신기능에 혁신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PC가격으로 워크스테이션의 기능'을 슬로건으로 내세우는 X터미널의 돌풍이 불고 있다.강력한 업무처리 능력을 가진 워크스테이션을 386PC가격대로 접할 수 있게 한 'X윈도 디스플레이서버'가 출현, 컴퓨터업계에 회오리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일명 'X터미널'이라 불리는 이 제품은 아직 워크스테이 ... ...
다시 주목받는 RISC 컴퓨터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RISC 의 선두주자 휴렛팩커드에 이어 선마이크로 아폴로 IBM 밉스 등이 RISC 컴퓨터를, 인텔과 모토롤러가 RISC칩을 출하해 최근 2~3년간 다양한 RISC제품들이 쏟아지고 있다.1970년대 중반 IBM연구소는 고급언어(high level language) 프로그램이 프로세서 (processor)에 정의되어 있는 다양한 명령어(instruction) ...
수학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객관식과 4지선다형의 해독이 한국의 수학은 물론이고 과학발전을 저해하고 있다.한국 고등학생의 수학실력이 계속 뒷걸음질 치고 있다. 적어도 수학엘리트들의 실력대결장인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는 뒷걸음질 현상이 두드러진다. 처음 출전했던 제29회 호주대회(88년)에서는 49개국중 22위( ... ...
도서관전산망 구축된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전국의 도서관을 하나로 묶는 도서관정보전산망(KOLIS NET) 이 구축된다.문교부는 91년부터 94년까지 1백19개 국립도서관 및 공공도서관을 19개 지역센터로 묶고 이 지역센터들을 다시 중앙의 도서관정보전산센터로 통합시킨다는 도서관정보전산망계획을 확정했다.문교부는 국립중앙도서관 전산실을 ... ...
잠의 건강학 수면시간의 「적정선」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나에게 얼마만큼의 잠이 필요한가를 결정해주는 기준은?"잠은 하루에 8시간씩 자라." 부모들과 교사 의사들로부터 흔히 듣는 충고다. 그러나 8시간 수면을 하고서는 도저히 공부량 또는 작업량을 완수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공허한 말일 수밖에 없다.정상적인 수면을 방해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 ...
컴퓨터 전문자격증 따는 길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정보처리기술사 공인정보시스템감사사 공인생산재고관리사 등 희소가치가 높은 자격증을 얻으려면…사회 각 분야에서 컴퓨터의 이용이 늘고 있다. 생산성향상 업무효율화 등을 위해 공공기관이나 기업들이 컴퓨터 도입을 적극 추진함에 따라 기존 업무를 잘 파악하고 있으면서 컴퓨터도 능숙하 ... ...
아르헨티나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열대에서 한대까지, 초원에서 사막까지, 한 나라 안에 이런 다양한 모습이 모두 담겨 있다.비록 이번에는 준우승에 머물렀지만 이미 두번이나 월드컵을 차지한 축구의 나라, 아르헨티나. 아름다운 항구 부에노스 아이레스를 수도로 정한 이 나라는 남아메리카대륙의 남동부에 자리잡고 있다. 남북 ... ...
갈릴레이 망원경에서 전파망원경까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인간의 시야를 한층 넓혀준 망원경이 발명된지 약3백년이 지났다. 망원경의 발달과정과 그 원리를 살펴본다.인간은 아주 훌륭한 시각(視覺)을 가지고 있어서 먼 하늘의 별이나 아름다운 자연을 볼 수 있다. 우리가 얻은 지식의 80% 정도는 시각을 통해서 얻어진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우리가 눈 ... ...
상처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어디를 때렸을까?1980년 이래로 많은 과학자들은 상당한 크기의 소행성 또는 혜성이 약 6천5백만년 전에 지구와 충돌하여 공룡과 그 밖의 많은 생명체를 멸종케한 재앙을 일으켰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면, 그 물체가 정확히 어디에 충돌했는가? 지구상 어디엔가 상처를 남겨 놓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