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문
바닥
들창
망치
도끼의 자루
채광창
통풍창
d라이브러리
"
창
"(으)로 총 662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라볼라 안테나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통해 우리도 국산 위성방송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래서 그런지 여기저기 아파트의 베란다
창
에 매달려 있는 파라볼라 안테나가 이제는 그리 낯설거나 어색해 보이지 않는다. 눈에 띄는 빈도가 점점 더 해갈수록, 어쩔 수 없이 느끼는 기술당사자로서의 자괴감을 애써 감추며 외면해 오던 터였다. 결코 ... ...
팔만대장경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단순한 구조는 아니다. 앞쪽인 동남쪽의
창
은
창
살이 굵고 큰 데 비해 뒤쪽인 서북쪽의
창
은 작고 좁다.이 간단한 차이가 공기의 대류는 물론 적정온도를 유지하게 한다. 일례로 장경각 안에서 향을 피워보면 향이 각 전체를 한 바퀴 돈 뒤에야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온도도 가장 추울 때와 ... ...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세계로 몰입하기 시작한다. 반짝거리는 밤하늘을 좀더 가깝게 두기 위해, 우주로 열린
창
을 보다 맑게 하기 위해 망원경의 반사경을 연마하는 것이다. 때로는 두세시간 정도로 끝나기도 하지만 새벽 두세시를 넘기는 경우가 허다하다.웬만한 아마추어천문가라면 이만성씨가 망원경 제작에 깊이 빠져 ... ...
윈도우의 시대는 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copy) 워드프 로세서 등과 같은 작업
창
으로 손쉽게 옮길 수 있으며(DDE기능), 또 이들 작업
창
의 일부분을 각각 연계(link)해 한쪽만을 수정하면 다른쪽도 자동적으로 고칠 수 있게 해준다(OLE기능).윈도우 3.0에서 보여준 이같은 기능은 세계 PC 사용자들을 단번에 매료시키기에 충분했고 지금까지 DOS ... ...
마우스가 펼쳐내는 마술의
창
(窓)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옆집에 사는 친구와 대문으로 왕래하는 것보다
창
문을 열고 이야기하다가 의기투합하면
창
문으로 왔다갔다 하는 것이 얼마나 편하고 흥미있는 일인가. 외곽선 글꼴 지원하는 한글 윈도우이쯤에서 짐작할 수 있겠지만 윈도우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들은 사용법이 거의 비슷하다는 것도 사용자들을 ... ...
렌즈지름 10m벽 돌파하는 세계 최대 망원경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했다. 재료에 있어서는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이 거의 없는 초저팽
창
률을 가진 유리가 개발되고 기계부를 비롯한 몸체의 경량화소재가 등장해 더 큰망원경으로의 기반이 쌓여갔다.1980년 1월3일에는 미국의 애리조나에서 거대한 망원경을 위한 국제회의가 개최됐다. 이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또 탐사용이나 관광용은 안전이 허락하는 한 가급적 많은
창
을 설치하지만, 군사용은
창
대신 잠망경(periscope)을 통해서만 외부를 볼 수가 있다. 우주보다 열악한 환경잠수정이 수중에서 접하는 환경은, 지구위라는 점에서 쉬울 것으로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우주선보다 더 열악한 환경조건이 ... ...
오묘한 서리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하고 융해되면 빗방울이 돼 떨어진다는 것이 바로 인공강우의 원리인 것이다. 기껏해야
창
서리라는 단순한 생각을 하기 쉽지만 깊은 면에서는 이와 같은 자연의 섭리가 숨겨 있음을 알 수 있다.끝으로 인공서리나 인공눈에 관한 문헌을 대할 때마다 자연과학을 연구하는 연구자의 한사람으로서 ... ...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만약 제3차 세계대전이 일어난다면 그 시기는 예측할 수 없지만 4차대전 때는 돌과
창
으로 싸우게 될 것" 이라고 말한 바 있다. 즉 3차세계대전은 우발적이든 계획적이든 지구규모의 핵전쟁이 될 것이고 이는 곧 인류문명의 종말을 뜻하는 것이다.핵사고, 발생한 적 있어핵전쟁이 일어나기까지의 ... ...
하루에 수t이 쏟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있다. 이 유성은 나무 그림자를 드리우게 할만큼 밝았다. 91년 초에도 우연히 자동차 전면
창
을 통해 춤추듯이 불꽃을 내며 떨어지는 유성(화구)을 본 기억이 있다.유성의 재료가 되는 입자들은 의외로 작지만 그 양은 엄청나서 지구 전체에 떨어지는 모든 유성을 합치면 하루에 수t에 달한다고 한다.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