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흥함을 계속해서 바라고 응원한다. 조광래 1988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전신인
천문
우주과학연구소에서 과학로켓 개발을 시작해 이후 30년 넘게 발사체 개발에 몸담았다. 1993년 1단형 과학로켓 KSR-Ⅰ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했고, 1990년대 후반 KSR-III 사업부터 2002~201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 ... ...
우주에 돛을 펼쳐라 '라이트세일 2호' 나가신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더 높은 효율로 에너지를 전환하는 기술 등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영준 한국
천문
연구원 우주과학본부장은 “가장 가까운 항성인 프록시마 센타우리도 지구에서 약 4.2광년 떨어져 있다”며 “심우주 탐사를 위해서는 먼 거리를 극복하기 위한 모든 방법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나의 논문 투고기] 미지의 성단을 찾아서 '고딩' 3년을 모두 바쳤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U’, 안 교수님이 재직하고 있는 부산대의 ‘P’, 그리고 이 박사님이 소속된 한국
천문
연구원의 ‘K’를 모아 ’UPK‘라고 명명했다.비록 힘든 시간이 많았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과학자가 하는 연구라는 일에 대해 많이 배웠다. ‘나도 과학자가 될 수 있겠다’라는 확신도 갖게 됐다. 나처럼 ... ...
우리는 UST 퍼스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은하를 연구하기로 결정한 뒤 어느 교수에게 지도받을지 열심히 찾았다”며 “UST 한국
천문
연구원 캠퍼스가 이런 연구를 진행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해 지원했다”고 말했다. 2014년 당시 조 연구원은 연구에 대한 막연한 열정만 가득 품은 채 정 교수에게 연락했다. 그런 그에게 정 교수는 UST의 ... ...
천 년의 기록이 밝힌 태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주기는 약 11년입니다. 조금 긴 주기로는 60년이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양홍진 한국
천문
연구원 연구원팀이 흑점이 ‘240년’ 주기로도 활동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 새로운 발견에 연구팀이 이용한 도구는 거대한 천체망원경이 아닌 우리 선조가 남긴 오래된 기록이었습니다. 연구팀은 ... ...
수학으로 무장한 조선의
천문
학자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우리나라 역대 왕조는 하늘의 현상에 민감했습니다. 이것이
천문
학 발전의 밑바탕이 됐지만, 그만큼 뛰어난 관측 실력을 겸비한
천문
학자가 필요했습니다. 이런 ... 이게 가능한 이유요? 이순지 뛰어난 수학 실력 덕분이지요. 또 이 같은 노력으로 조선의
천문
학 체계가 수립된 거라오 ... ...
[스미스의 탐구생활]별자리도 조금씩 변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별들의 고유운동은 눈으로는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미하지만, 수천 년이 지나자
천문
학자들이 관측할 수 있을 정도로 별의 위치가 달라진 거예요.지금도 하늘의 별들은 각자의 방향으로 고유운동을 하고 있어요. 현재의 별자리가 미래에는 다른 모습으로 바뀔 수 있다는 뜻이죠. 미래에는 별자리가 ... ...
누구도 풀지 못한 하늘의 비밀 선조의 천 년 기록으로 풀다!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태양의 새로운 주기를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밝혔습니다. 놀라운 건 거대 망원경이 아닌 수백, 수천 년 전 고서를 분석해 찾아낸 결과라는 겁니다. 선조의 기록이 현대
천문
학 문제를 ... 밝힌 태양의 비밀Part 2. 선조의 기록에서 찾은 별 이야기 Part 3. 수학으로 무장한 조선의
천문
학자 ... ...
선조의 기록에서 찾은 별 이야기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예사롭지 않은 기록이 남겨져 있었습니다. 1년 간격으로 같은 위치에서 발견된 두 개의
천문
현상이었죠. 위치를 확인해보니 물병자리 변광성이었습니다. 변광성 폭발의 수수께기를 해결한 순간이었죠. 이제껏 한 번 폭발했을 거라 추측했으니 당연히 현재 모습이 설명되지 않았는데, 두 번 ... ...
[큐레이터] 빛으로 공간을 만드는 예술가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눈부시게 아름다운 천체를 볼 수 있으니까요. 마치 맨눈으로 천체현상을 관찰할 수 있 는
천문
대와 같습니다. ▲ 사진에 있는 계단 위로 올라가 2차원 평면으로 보이는 곳으로 발을 내딛으면 이와 같은 환상적인 공간이 나온다. 간츠펠트 효과에서 여감을 받아 만든 작품 '간츠펠트'다. 터렐의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