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터
토지
토질
영토
땅
밑자리
기초
d라이브러리
"
터
"(으)로 총 1,625건 검색되었습니다.
만능종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2006년 표면에 특수한 물질을 코팅한 종이와 특수한 프린
터
를 사용해, 잉크를 제거할 필요 없이 무한히 재사용할 수 있는 종이를 개발했다. 종이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펄프로 만들었으므로 종이는 종이.종이실로 상자를 꿰맨다면스테이플로 종이상자를 ... ...
봄날의 달빛을 좋아하세요?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따라, T링은 카메라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천문대에는 거의 모든 종류의 카메라어댑
터
와 T링이 준비돼 있다.망원경을 처음 다루는 초보자라도 강사의 설명을 듣고 몇 번 반복하면 요령이 생긴다. 봄바람이 살랑살랑 부는 5월. 가까운 천문대를 찾아 ‘디카’를 들고 별사냥에 나서보는 건 어떨까 ... ...
정전기가 자동차를 태운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털북숭이 고양이를 차에 태운 거예요!”아뿔싸! 정작 자신의 위험은 알아채지 못한 닥
터
고글. 이발기를 잡아들고 냥냥이를 쫓기 시작한다.“냥냥! 너 거기 안 서? ”“냥~! 냥냥 냐앙~?(바보~! 너 같으면 서겠냐?)”정전기, 이렇게만 하면 막을 수 있어!① 몸에 로션을 자주 바르기.② 주유 중 엔진 끄기 ... ...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교수는 원격진료의 가능성도 점친다. 그는 “어디서든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유비쿼
터
스 헬스(U헬스) 세상이 오면 의료영상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영상유도수술이나 가상 수술은 의료영상이 뒷받침돼야 가능하다”고 말했다. 제3의 의술(醫術)인 의료영상은 인류의 건강을 뒷받침하는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뛰어 넘어 다양한 유전체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해 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여하튼 벤
터
박사의 합성유전체와 반(半)합성세포 연구가 인간이 새로운 세포를 합성하는 ‘생명 2.0’ 시대를 한층 앞당기고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트랜스포존*염색체상의 어떤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자유롭게 ... ...
박주가리 씨앗의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2호
휘날리며 먼 곳까지 날아가지요. 그 곳에서 추운 겨울을 보내고 따뜻한 봄이 오면 싹이
터
요. 그리고 햇볕이 쨍쨍 내리쬐는 여름에 불가사리 모양의 작고 예쁜 꽃을 피우지요. 찬바람이 부는 날 개울가의 수풀을 살펴보세요. 박주가리 씨앗이 여행을 준비하고 있을 거예요 ... ...
변기타고 떠나자! 화장실 익스프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역이라구? 뭔가 아쉬운데? 다음 역에도 가 보고 싶어. “저희도 아쉽습니다. 여기서부
터
는 기차 레일이 이어지지 않아 다음역으로 갈 수 없습니다….”왜? 어째서? 다음 역이 없는 거지?“세계 인구의 40%가 화장실 없이 살아가고 있어 요. 즉 첫 번째, 두 번째 역쯤에 머무르고 있는 거죠. 두 ... ...
태와사신기 - 사신의 부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드라마를 누비는 사신의 모습에서 고구려 고분벽화와 컴퓨
터
그래픽의 특징을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이러한 관심이 모여 잠자고 있는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를 깨운다면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사신의 부활이 아닐까 싶다 ... ...
과학자들의 수다 최초과학자 3인은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크기가 왜 조금씩 다른지를 7년 넘게 연구했지. 결국 완두콩의 특징은 부모 세대로 부
터
물려받은 형질 때문이란 걸 알아 냈어. 물론 이 형질을 결정하는 게 유전자라는 것까지는 알아 내지 못했지만, 이것만으로도 당시에는 최고의 성과였다구. 사실 다윈의 진화론에서 부족한 부분을 내가 채워 준 ... ...
인간이 창조한 별들의 콘서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고흥 외나로도의 우주센
터
는 내년 초에 완공될 예정이다. 내년에는 외나로도 우주센
터
에서 과학기술위성2호가 러시아와 공동으로 개발한 소형위성발사체 KSLV-1에 실려 발사된다. 성공한다면 우리나라는 스스로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있는 기술을 갖춘 아홉 번째 나라가 된다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