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과"(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새로운 장비를 개발했어요. 광섬유 대신 알루미늄과 아크릴 파이프를 사용해 빛을 통과시키고, 중간중간 볼록렌즈로 흩어지는 빛을 다시 모아 지하 150m까지 빛을 보내는 데 성공했답니다. 이 장비를 쓰면 동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자외선과 적외선까지 모두 지하로 보낼 수 있어요. 이런 장점을 ... ...
- Part 1. 웰컴 투 매스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신호를 무시하고 제멋대로 운전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어느 날 재벌 2세 모제스가 시내를 통과해 시청에 간다는 소문이 퍼졌다. 평소 모제스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경찰 서장은 이번 기회에 범칙금을 제대로 뜯어내리라 마음을 먹고 신호위반을 하는지 꼼꼼히 살폈다. 그런데 모제스는 한 번도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지름이 0.01mm인 구슬은 대부분 회수됐다. 지름이 이보다 작은(0.008mm) 적혈구는 충분히 통과할 수 있다.식물의 모양과 크기가 다양하다는 것도 유리한 점이다. 시금치 잎이 너무 작아 사람 장기로 쓸 수 있을지 걱정하는 기자에게 가우데트 교수는 “식물은 아주 작은 클로버부터 거대한 토란 잎에 ...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택한다. 우리가 사용할 입자는 0.5mm와 0.1mm 사이의 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0.1mm 체를 통과한 작은 입자와 0.5mm체 위에 남은 큰 입자들은 버려도 좋다.채집한 입자는 현미경 관찰 전에 입자표면의 또 다른 작은 먼지들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을 해야 한다. 물보다는 알콜로 세척해서 표면의 불순물을 ... ...
-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대칭을 고려하면 광물을 총 230개로 분류할 수 있다고 밝혔지요.결정축★ 결정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선. 이 선을 기준으로 결정을 360° 회전시켰을 때 처음 모양과 2번 이상 겹쳐야 한다. 쌩얼이 빛나는 비결TV 프로그램을 보면 종종 ‘원석을 발견했다’, ‘예능 원석을 찾았다’고 합니다. 아직 ... ...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주로 건물의 안전성 검사를 한다. 좀 더 규모가 큰 1층 실험실에서는 특정 지역에 바람이 통과하는 길을 확인하거나, 유해 물질이 어떻게 퍼져나가는지를 관찰하는 실험 등 다양한 연구를 한다. 이 날은 경기도 고양시 삼송동에 위치한 한 아파트 단지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있었다. 실제 아파트 ... ...
- Part 1. 겨울철, 초미세먼지가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미세먼지보다 훨씬 입자가 작기 때문에 몸속으로 깊숙이 파고들 수 있어요. 세포벽을 통과해 세포 속 기관이나 핵과도 반응을 일으킬 정도지요. 또한 같은 양이라도 미세먼지에 비해 개수도 많고 표면적도 커요. 그럼 인체 기관과도 더 많이 반응을 일으켜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답니다.▼관련기사를 ... ...
- [과학뉴스] 두뇌의 능력,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같이 생긴 조직으로, 지금까지는 신경세포 중심부인 세포체가 생성한 전류를 수동적으로 통과시키는 전선 역할만 한다고 알려져 있었다.연구팀은 실험쥐 두뇌의 후두정피질 근처에 전극을 붙인 뒤 미로에 넣고 4일 동안 관찰했다. 후두정피질은 주로 운동을 할 때 활성화되는 영역이다. 그 결과 ... ...
- Part 4. 보이지 않는 살인자, 라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이유는 바로 방사성 붕괴 때문이에요. 방사성 붕괴 과정에서 나온 에너지가 인체를 통과하며 피부나 장기 조직을 변형시키고 돌연변이를 일으키거든요.자연에는 40여 종의 방사성 물질이 있어요. 그런데 왜 라돈이 특히 위험할까요? 그건 라돈이 기체이기 때문이에요.라돈은 기체라 토양 위에 지어진 ... ...
- [과학뉴스] 우주선 폭발 막는 광섬유 신경망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복합재료 안에 광섬유를 매설했다. 만약 충격으로 재료 내부가 손상되면 광섬유를 통과하는 빛이 바뀐다. 센서로 이를 검출하면 정확한 손상 위치와 정도를 알아낼 수 있다. 권 책임연구원은 “사람의 신경망이 통증과 온도를 감지하는 것처럼 복합재료의 광섬유가 인공 신경망처럼 손상을 감지하는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