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식
지식
견문
공부
면학
연구
학업
d라이브러리
"
학문
"(으)로 총 2,151건 검색되었습니다.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된다. 이로써 외과의사가 제대로 된 의사 취급을 받기 시작했다.외과와 내과가 한
학문
의 두 갈래라는 생각은 18세기 병리해부학의 발전에 힘입은 바가 크다. 의사들은 각종내과 질환의 증상을 사후 부검을 통해 발견한 각 장기의 형태적 이상과 연결했는데 이를 주도한 인물은 외과의사 출신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추구하면 정답에 가까운 일들과 연구와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이공계는 정답이 있는
학문
입니다. 정답이 있지만 정답에 얼마나 가까이 가느냐가 중요한 것입니다. 정답이 없는 데 시간을 너무 쓰지 말라고 하고 싶습니다. 이건 인생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CFD 관련된 연구를 해서 받았다. 공기나 물의 흐름을 컴퓨터를 이용해 파악하는
학문
이다. 결국 비행기란 이런 흐름을 조종하는 기계장치를 만드는 것이니 이미 석사과정 때 항공 과학자로서의 기틀을 다진 것이다. 그는 “미국은 큰 나라다 보니 지리공부도 할 수 있었고, 넓은 세상을 보면서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화학적 처리는 물론, 이런 과정을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공학기술까지 함께 배우는 융합
학문
이다.리하이 대는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베슬리헴(Bethlehem) 에 자리하고 있다. 이 센터장의 유학 시절엔 이 대학에서 한국인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쓸쓸한 환경이다 보니 할 것이 공부밖에 없었다. 그는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않는 추상적인
학문
이라면, 전산학은 논리를 바탕으로 생각을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학문
이었다. 논리의 흐름을 계속 공부하면서도 과정과 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니, 그가 가장 잘할 수 있는 분야를 찾은 셈이었다. 위기를 기회로! 대형백화점에서 작은 금융회사로 옮기다 학업을 무사히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매진하는 경향도 노벨상 수상을 가로막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 “동의한다. 탁월한
학문
적 성과의 기본은 연구의 독창성이다. 1996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영국의 해리 크로토 교수가 대표적이다. 그는 자연계에서 탄소 원자로 이뤄진 분자가 다이아몬드와 흑연 두 가지 형태뿐이라는 주장이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소통하기 위한 노력을 발표했습니다. 행동을 보고 동물의 느낌이나 생각을 알아내는
학문
인 동물행동학을 소개하고 동물언어를 활용한 로봇 기술도 보여 주었지요. 또 사람의 생각을 동물에게 전달하는 방법도 알려 주었어요. 사람이 생각할 때 발생하는 뇌파를 쥐의 뇌에 전달하는 뇌공학을 ... ...
소설, 수학을 삼키다!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녀석에 의지해야 한다. 그런데 그 확률 계산이라는 것은 수학이기 때문에, 우리는 모든
학문
중에서도 가장 엄밀하고 정확한 것을 이용해서 마치 허깨비와 같은 것을 해결해야 한다.오른쪽 이야기는 의 일부야. 미국의 단편소설가 에드거 앨런 포의 대표적인 추리 소설이지. ... ...
[W5 코드 브레이커] 끊임없이 진화하는 최첨단 암호 기술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그리고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입자들의 세계를 설명하는 ‘양자역학’이라는
학문
이 생겨났다. 양자역학이 발전하면서 학자들은 광자의 특징을 이용하는 ‘양자암호’를 생각해냈고, 지난 1989년에는 양자암호통신 실험이 성공했다.광자는 입자이면서도 파동처럼 진동하면서 전달된다는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수 있을 것인지는 항상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정 교수의 지론이다.또 다양한
학문
분야에 대해 머리와 마음을 열어둘 수 있는 개방성과 네트워킹이 현대 연구자들에게는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유리화 난자 동결법도 사실 전자공학 연구자들과 대화를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