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주"(으)로 총 1,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 1차원 - 제돌이, 바다로 돌아가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큰돌고래와 혼동되다가 새 종으로 분류된 지 10여 년밖에 되지 않았다. 제주 해역과 일본, 호주 근처에 소수만 산다.해를 거듭해 조사를 했지만, 한반도 바다에서는 오직 114마리만 관찰된다. 고래연구소는 고래 조사를 수시로 한다. 돌고래 떼도 수시로 만난다. 그때마다 망원렌즈로 사진을 찍고 ... ...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이유였다. 피해 농민은 2010년 12월 자신의 밭에서 처음으로 GM 캐놀라 종자를 발견했으며, 호주의 ‘지속가능한 농업 전국협회’는 그의 농장 70% 이상에 대해 유기농 인증을 철회했다고 한다.한국에서는 아직까지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지 않아 이 같은 사건이 크게 벌어진 적은 없다. 하지만 수입 ... ...
-
-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대표적이고 직접적인 ‘킬러’다. 토바 분출로 나온 화산쇄설류로 아프리카 대륙 동쪽과 호주 북서쪽 해안에 쓰나미가 발생했다는 증거가 있다.약 7만 4000년 전 토바 분출 때 분출물의 부피는 약 1000km3이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분출로 화산재가 고도 25km이상의 성층권까지 도달하면서 ... ...
-
- [화보] 종이로 만든 입체 예술 , 팝업아트수학동아 l2013년 04호
- 극대화됐다. 진짜 꽃, 진짜 거미?진짜인지 가짜인지를 의심할 만큼 섬세한 팝업 북이다. 호주의 전문 페이퍼 엔지니어이자 작가로 활동하고 있는 벤자 하니의 작품이다. 그는 감각적이고, 섬세한 작업 활동을 하는 작가로도 유명해 종이 건축조형이나 광고, 패션분야와 잡지 일러스트 등 다양한 ... ...
-
- [과학뉴스] ‘쥬라기공원’처럼 멸종 개구리 살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개구리가 알을 낳자마자 스스로 삼킨 후 뱃속에서 알을 부화시킨 뒤 뱉어내기 때문이다. 호주 열대 우림에서 살던 이 개구리는 1983년에 멸종됐다.개구리를 되살리기 위해 연구팀은 40년 동안 냉동상태로 있던 이 개구리의 조직에서 세포핵을 분리했다. 그 다음 유전적으로 가까운 큰 줄무늬 개구리 ... ...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연구팀은 “아시아촌충은 민촌충의 아종일 뿐”이라며 새로운 종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호주나 영국 학자들도 대만의 손을 들어주며 맹렬히 공격해왔다. 하지만 미국이나 스페인, 벨기에, 중국 등에서 새로운 종임을 주장하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며 두 입장이 팽팽히 맞서기 시작했다.여기에는 ... ...
-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의도가 타지 마할이 아니라면? 실제로 그래미상을 받은 뮤지션, 근처 인도 음식점, 호주에서 만든 독립 영화 이름도 타지 마할이다.근처 인도 음식점 이름을 머릿속에 두고 타지 마할로 검색했다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을 것이다. 꽃미남 배우 ‘김수현’을 검색하면 어떨까.이름이 ... ...
-
- 꽃 호르몬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위해 경쟁했다. 대표적인 과학자가 영국의 캐롤라인 딘, 독일의 조지 쿠플랜드, 호주의 엘리자베스 데니스와 필자의 지도교수였던 미국의 리차드 아마시노였다. 1993년, 최초의 개화유전자 클로닝을 필자가 해내면서 첫 번째 개화유전자 클로닝의 영예는 아마시노 교수에게 돌아갔다. 아직도 ... ...
-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최신의 공학 기술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국제협력이 필수다. 이미 미국과 유럽, 일본, 호주 등이 협력해 연구하며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우리나라도 2009년부터 국가수리과학연구소 (NIMS),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대 등으로 구성된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이 라이고 과학협력단에 참여하고 ... ...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소행성을 찾는 일에 힘을 보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MTNet 프로젝트란 칠레, 호주 등 남반구에 지름 1.6m급의 거대 망원경을 설치하는 계획으로 남반구의 별을 24시간 관찰할 수 있다. 남반구의 밤하늘은 아틀라스의 망원경이 볼 수 없는 곳이다.세계 여러 나라들이 힘을 모아 위협적인 소행성을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