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정함"(으)로 총 2,80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기원NOW] UNIST, 전극재료 ‘불화탄소’ 안전 제조법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3.08.10
- 백종범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왼쪽)와 장부재 연구원. UNIST 제공. ■ 이차전지 등 다양한 전자기기 전극재료에 사용할 수 있는 불화탄소를 안전하고 손쉽게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10일 백종범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이 테프론과 흑연을 반응시켜 불화탄소 ... ...
- 2D 반도체 저온 제조 성공…"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적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2023.08.10
- 저온에서도 고품질 2차원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차원 반도체를 기존 온도보다 훨씬 낮은 온도에서 높은 품질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안종현 연세대 교수, 정운진 공주대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이 2차원 반도체 소재인 ... ...
- 분쟁 잦은 교통사고 과실 비율, AI가 빠르게 평가한다동아사이언스 l2023.08.10
- 인공지능이 교통사고 과실을 객관적으로 평가한다. GIST 제공 인공지능(AI) 기술로 블랙박스 영상을 분석해 교통사고 과실 비율을 평가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이용구 기계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AI가 블랙박스에 찍힌 사고 영상을 분석해 사고 과실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기 ... ...
- 태양전지 효율 높일 새 '준이차원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08.08
- 연구팀의 연구 결과가 실린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리티얼즈' . 한국연구재단 제공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기존 결함을 해결할 새로운 태양전지 소재가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이광희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김희주 에너지융 ... ...
- 300평 '스마트 팩토리'에서 제조공정 혁신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23.08.05
- 조영태 창원대 스마트제조융합전공 교수와 학생들. 과학동아 제공 지난 7월 11일 국립 창원대 스마트제조융합전공(학부)과 스마트제조융합협동과정(대학원)이 있는 82동에 들어가자 입이 ‘떡’ 벌어지는 규모의 스마트 팩토리가 보였다. 면적이 1000m2에 달하는 스마트 팩토리는 나노공정실, 로봇 ... ...
- 투명 피부부터 초록 피부까지…'카멜레온' 같은 인공 피부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08.03
- 새로운 광학 탄성체로 인공 전자 피부를 제작한다. 포스텍 제공 카멜레온처럼 피부색을 다양하게 바꾸는 데다 눈에 보이지 않는 투명한 피부까지 만들 수 있는 인공 전자 피부 제작 기술이 개발됐다. 포스텍은 최수석 전자전기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새로운 광학 탄성체(CPE)를 토대로 인공 전자 ... ...
- [과기원NOW] UNIST, 저온에서 한 층씩 쌓아만드는 2차원 반도체 공정법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3.08.01
- 서준기 UNIST 교수 연구팀의 연구 결과는 나노과학 학술지 'ACS 나노'에 7월 11일 게재됐다 .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서준기 반도체 소재·부품 대학원 및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저온에서 원자층을 한 층씩 쌓아 만드는 '원자층 증착법 기반 텔레륨 박막 증착법'을 개발해 나노과학 ... ...
- 펜·잉크로 로봇 움직인다…"다단계 로켓 움직임도 설계"동아사이언스 l2023.08.01
- (왼쪽부터) 송서우 스탠포드대 박사, 이수민 서울대 박사, 권성훈 서울대 교수, 김지윤 UNIST 교수. 서울대 제공. 펜과 잉크를 이용해 수면 위에서 로봇이 움직이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서울대는 1일 권성훈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김지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송서우 스탠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은 ‘과학’ 2023.08.01
- 후쿠시마 오염수의 태평양 방류에 대한 사회적 불안은 오염수 방류와 관련된 가짜과학에서 시작됐다. 연합뉴스 제공 후쿠시마 오염수의 태평양 방류가 우리나라 해역과 수산물에 미치는 영향을 지나치게 걱정할 이유가 없다는 정부와 과학계의 일관된 주장이 좀처럼 설득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 ... ...
- 카메라 렌즈 두께 줄일까…노준석 포스텍 교수, 물에 녹는 몰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07.31
- 수용성 몰드를 개발하는 연구를 주도한 노준석 포스텍 교수.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물에 녹는 성질을 가진 몰드를 개발했다. 물에 녹여 구조체와 분리할 수 있는 이 몰드는 빛의 성질을 무시해 카메라 렌즈 두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메타표면 상용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