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의
말다툼
토론
언쟁
분쟁
쟁론
투쟁
뉴스
"
논쟁
"(으)로 총 618건 검색되었습니다.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2010년 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개인게놈 컨퍼런스는 비교적 소규모에다 하루짜리 행사였음에도 유명한 사람들이 꽤 많이 모여 필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DNA발견의 두 주인공 가운데 한 명인 제임스 왓슨이 자리를 빛냈고 오늘날 게놈연구 발전의 중요한 기여를 한 하버드대 조지 처치 교수가 ... ...
초기 인류의 ‘족보’ 전면 수정되나
과학동아
l
2013.10.29
종으로 볼 것인지 늘 논란을 벌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그런 논란의 확장판으로, 추가
논쟁
이 벌어질 예정이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10월 18일자에 실렸다 ... ...
"과학적 검증 지나치면 영화 재미없지 않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0.27
영화 그 자체 뿐만 아니라 무한동력엔진, CW-7 등 영화 속 '과학적인' 설정에 대한 장외
논쟁
도 뜨거웠다. 이달 26일 국립과천과학관이 ‘설국열차로 보는 인류의 미래’란 주제로 과학토크콘서트를 개최하고, 봉준호 감독에게 직접 영화에 대한 '뒷담화'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과학관 내 ... ...
암흑 에너지 해결책은 뚱뚱한 중력 입자?
동아사이언스
l
2013.10.22
열린 우주론 학회에서 ‘무거운 중력자 이론’을 두고 참가한 학자들 사이의
논쟁
이 뜨거웠다. 2010년 미국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 소재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 물리학과 클라우디아 드람 교수는 중력자가 암흑 에너지의 대부분을 ‘집어삼킬’ 수 있다면 진공 에너지가 암흑 에너지를 설명할 수 ... ...
원전 확대정책 포기하면 대안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0.14
전력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원전 밖에 없다.” 원전 확대정책은 그동안 끊임없이
논쟁
이 돼 왔다. 일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민관합동워킹그룹이 정부에 권고한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초안에 따르면 원전 확대정책에 제동이 걸린 것으로 보인다. 국내 전력시장에서 원자력 발전 비중을 ... ...
“하느님하고 과학자가 싸우면 누가 이기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0.13
바탕 위에서, 각 진영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전개해나가는 책이다. 과학과 종교 사이의
논쟁
은 이미 다양한 매체를 통해 수없이 벌어져왔다. 하지만 종교를 떠나 ‘영적인 어떤 존재’를 인정하며 최대한 논리적으로 접근하는 이 책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색다른 느낌을 준다. 책 속에는 과학과 ... ...
[노벨화학상 특집]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
과학동아
l
2013.10.11
발표했다. 이후 학계에서는 이런 원자 구조를 가진 결정이 있는지를 확인하려는
논쟁
이 벌어졌다. 불과 한 달 뒤 물리학자 폴 스타인하르트와 도브 르바인은 이 결정 구조를 ‘펜로즈 타일링’의 패턴 구조로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같은 과학지에 발표했다(127쪽 상자기사 참조). 또 다른 종류의 ... ...
“국내 유일 카메라 광학기술 연구… 국가대표 자세로 일해요”
동아일보
l
2013.09.24
시도한다는 점이 항상 어렵다”며 “APS-C 센서를 처음 적용할 때도 연구원들 간에 치열한
논쟁
이 벌어져 집에 가지 못한 날이 부지기수로 많았다”고 회상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해 5월 수원 사업장을 방문해 ‘삼성 카메라 세계 1위’라는 특명을 내렸다고 전해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 ...
인류 문명 알고보니 곤충이 이끌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8
견해와 물리학적인 견해의 차이, 그리고 ‘풀었다’라는 말을 쓸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
으로 빛이 바랬지만 현대 수학에도 풀지 못하는 문제들이 여전하다는 인식을 인식을 일반인들에게 각인시켜 주기에는 충분했다. 이 책은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 수학사를 뒤흔든 14가지 난제에 대해 친절하게 ... ...
보행자와 사랑에 빠지다
동아닷컴
l
2013.09.04
총 300회에 가까운 충돌실험을 한다는 게 한국GM 측의 설명이다. ○ 영업과 디자인 부서의
논쟁
충격흡수용 구조물을 새로 넣고 내구성이 강하면서도 탄성이 있는 비싼 소재를 쓰다 보면 당연히 뒤따르는 것이 비용 증가다. 아무리 좋은 기술도 생산원가를 지나치게 높인다면 자동차회사가 쉽게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