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안
창안
발명자
창시
창설
발명품
개발
뉴스
"
발명
"(으)로 총 599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 쏴보니 나로위성 살아있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개발하기 전까지는 국내에 없어 해외 자료에 의존했다. KAIST 기계공학과 오준호 교수가
발명
한 광학추적장치가 있지만, 레이저 장치가 붙어 있지 않아 인공위성까지 정밀한 거리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SLR 개발팀은 올해 3월 25일 미국에 본부를 둔 국제기구 ‘ILRS(International Laser Ranging Service)’에게 ... ...
[이주의 과학신간] 식물도 기억하고 냄새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과학의 원리와
발명
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발명
의 역사를 통해서
발명
이 이뤄졌을 당시 사회의 모습과 인류의 발전 과정도 함께 들여다볼 수 있다 ... ...
천연두 잡는 ‘종두법’, 조선에 늦게 상륙한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전당‘에 오르지 못했다. 이종호 제공 참고로 지석영은 조선 말기에 우리나라 의학과
발명
에 큰 공헌을 한 사람 중의 한 명이지만 2003년 제정된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헌정자에서 빠졌다. 지석영이 1909년 안중근 의사에 의해 사살된 이토 히로부미의 추도문을 낭독하는 등의 친일행적 ... ...
[부산/경남]“고교때 벌써 대학 학점 따요” 부산기계공고-동명대 학점인정 협약
동아일보
l
2013.04.25
‘선 취업 후 진학’을 목표로 하는 부산기공 학생 302명은 8일부터 교양컴퓨터(2학점),
발명
과 특허(2학점) 과목을 들을 수 있다. 이들은 현장학습과 온라인학습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교과목을 배운다. 추가 학비 부담도 없고 취업 후 대학에 진학하면 졸업까지의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동명대는 1 ... ...
세계 최초의 마우스, 디자인은 클래식-사용감은 글쎄…
동아일보
l
2013.04.25
세계 최초 마우스를 접한 누리꾼들은 “세계 최초의 마우스 지금의 컴퓨터를 있게한
발명
품이네” “세계 최초 마우스 디자인도 괜찮은 것 같다” “세계 최초 마우스 한 번 써보고 싶다”등의 반응을 보였다. 사진출처│온라인 커뮤니티 동아닷컴 온라인뉴스팀 기사제보 / star@donga.com [화제의 ... ...
수술로봇 ‘다빈치’… 음성인식 ‘시리’… 대박상품 비결은 기술이전
동아일보
l
2013.04.25
2011년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2009년 기준으로 정부 연구기관의 성과를 응용해 나온
발명
건수가 4425개이고, 각종 특허 라이선스로 벌어들인 수익은 약 1억5430만 달러(약 1667억 원)에 이른다. NIH 기술협력국 정책담당자인 앤 해머슬라 국장은 “미국 정부는 공적자금이 들어간 연구 결과가 실제 ... ...
[DBR 경영어록]“모방하고 싶어하는 제품을 만들어라”
동아일보
l
2013.04.25
가졌다면 뒤를 돌아보지 말고 자신의 미래만 바라보며 경쟁하면 된다. 이럴 때 또 다른
발명
품이 나오는 것은 아닐까. 조선경 딜로이트컨설팅 리더십코칭센터장 정리=이유종 기자 pen@donga.com [화제의 뉴스] - “朴훈수두다 장기판 엎어…입법부 시녀화 시도” - “안철수, 밖에서 돈 안벌고 집안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즉 첫째 고개는 오랫동안 “동물이냐? 식물이냐?” 하는 구분이었다. 17세기 현미경이
발명
되면서 미생물의 존재가 밝혀졌지만 사람들은 ‘동물이 아닌 건 다 식물’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1866년 독일의 저명한 생물학자 에른스트 헤켈은 단세포 생물을 식물에 분류하는 건 무리라고 보고 이들을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죽고 300년이 지난 20세기 그의 2진수는 논리연산에 적용되고 디지털 컴퓨터가
발명
되면서 화려하게 부활했다. 2진법의 0과 1은 ‘디지털의 아버지’ 클로드 섀년에 의해 ‘비트(bit)’라는 정보단위 이름을 얻었고 오늘날 데이터 대다수는 비트의 연속으로 변환돼 계산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그런데 ... ...
이전
56
57
58
59
60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