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본
근원
기원
원천
기초
시초
씨앗
뉴스
"
뿌리
"(으)로 총 701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룹 ‘클론’ 출신 구준엽, 아이폰 분해하는 까닭은
2015.08.21
일컫는 용어다. 메이커는 새로운 아이디어로 혁신을 만드는 창조경제의 문화적인
뿌리
가 될 수 있다. 세계적으로는 2005년 ‘메이커 페어’가 처음 시작된 이후 지난해까지 전 세계에서 메이커 페어가 125회 개최되면서 메이커 문화를 퍼뜨리는 ‘메이커 운동’으로 자리 잡았다. 20일 ... ...
젤라틴이 만드는 쫀득함의 비밀
과학동아
l
2015.08.19
아이스크림이 쫀득한 이유는 살렙이라는 야생난초의
뿌리
가루를 넣기 때문이에요. 살렙
뿌리
에 들어 있는 다당류가 엉겨 붙으면서 아이스크림 입자가 조밀해지거든요.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서는 구하기가 힘든 재료지요. 다른 재료로는 쫀득쫀득한 아이스크림을 만들 수 없을까요? 호기심이 많은 ... ...
사람의 폭력성은 진화의 산물일까
2015.08.09
등에서 벌어진 내전을 직접 목격하게 된 것이다. 그 뒤 저자는 ‘잔인한 폭력의
뿌리
가 어디서 왔을까’하는 의문을 품게 된다. 영장류 학자인 저자는 의문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다시 고릴라와 침팬지 같은 영장류 사회를 탐구하게 시작한다. 사람 역시 이들과 같은 조상에서 갈라져 왔기 ... ...
[GMO 르포] 美 듀폰 파이오니어, 몬샌토 연구센터 가 보니
2015.08.07
Bt 유전자를 식물에 넣을 때에도 세균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아그로박테리움은 식물
뿌리
에 혹을 만드는 과정에서 자신의 유전자를 식물의 유전자 사이에 슬쩍 끼워 넣는다. 가령 옥수수에 아그로박테리움을 감염시키면 아그로박테리움이 알아서 Bt 유전자를 옥수수에 집어넣는다. 디구이어 ... ...
보노보와 아기, OOO이 닮았다
2015.08.04
야생 보노보를 보며 이들의 소리가 인간의 소리와 다르지 않음을 느꼈다”며 “소통의
뿌리
를 찾기 위해 그들의 소리를 이해할 필요가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 보노보는 입술 가까이에서 ‘핍’과 같은 높은 소리를 짧게 냈다. 이런 울음 방식은 내용에 따라 달라졌다. 이 소리의 음향 ... ...
혈관과 뼈 동시에 3D프린터로 출력
2015.07.21
심는 방식으로 뼈 조직을 만들었다. 치수줄기세포는 신경과 혈관이 많이 분포한 치아
뿌리
부분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다. 특히 조직을 만들 때 중심부에 집중적으로 혈관 생성을 돕는 성장인자를 투입했다. 3D프린터로 혈관과 뼈를 동시에 프린팅한 기술은 ‘재료화학저널B’ 21일자 속표지논문으로 ... ...
‘분수의 기초’도 안 배웠는데 ‘분수 덧셈- 뺄셈’이 불쑥…
동아일보
l
2015.07.16
것”이라고 꼬집었다. ○ 수업의 질 하락 우려 잦은 개정으로 교육과정은 현장에 제대로
뿌리
내리기도 전에 바뀌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2013년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해 내년이 돼야 초중고교 12개 학년이 동일한 교육과정의 적용을 받게 된다. 하지만 이런 상황은 1년 만에 끝이다. 이전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식물내생박테리아 균주들을 분리했다. - 섀런 도티 제공 그런데 기사에 질소고정에
뿌리
혹이 꼭 필요한 건 아니라는 최초의 증거가 나온 건 사탕수수의 줄기에서 질소고정이 일어나는 현상을 발견한 1990년대라는 언급이 있다. 사람의 몸 이곳저곳에 미생물이 있듯이 식물체에서 터를 잡고 사는 ... ...
멕시코만 원유 유출 5년, 생태계 살아났나?
2015.07.06
것이고 달팽이도 마찬가지로 급감했다가 회복되는 기미를 보이고 있다. 기름으로 식물
뿌리
가 손상되면서 습지가 파괴됐지만 이제는 회복되고 있다. 한편 기름유출로 모든 생물종이 타격을 입은 것 같지는 않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즉 블루크랩이라는 게는 사고이후에도 개체수가 감소하는 ... ...
번개 모양은 전하가 퍼지는 최적의 경로
수학동아
l
2015.07.03
써야 하기 때문에 이런 모양이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즉 번개 전하나 하천의 물줄기, 나무
뿌리
는 수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길을 택해 뻗어나가는 셈이다. ※ 더 많은 수학기사를 2015년 7월호 수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