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의술
메디컬
메디칼
medical
뉴스
"
의학
"(으)로 총 6,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자각몽·악몽은 왜 꾸는 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9
주변 환경 정리도 잘해야 한다'고 전했답니다." Q. 동물도 꿈을 꾸나요? "신경과학자와
의학
자는 많은 동물이 꿈을 꾼다고 추정하고 있어요. 동물도 렘수면에 들어갔을 때 사람이 꿈을 꿀 때와 비슷한 행동이나 뇌파를 보이기 때문입니다. 1959년 프랑스의 신경과학자인 미셸 주베가 고양이 실험을 통해 ... ...
[현실이 된 영화 속 과학] ④인간 장기 대체품 만든다…'아일랜드(2005)'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모방한 장기 유사체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명
의학
공학'에 발표했다. 척수 모방 오가노이드는 뇌와 척수로 발달하는 배아 구조인 신경관의 형태를 그대로 구현해 선천성 발달장애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
[
의학
바이오게시판] 20~25일 ‘세계 의료정보 표준화’ 논한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정서적 특성을 반영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정신건강 척도는 18일 '2024년 대한신경정신
의학
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개최하는 심포지엄에서 최초 공개됐다 ... ...
"비싼 검사기기 대신할 '유연소자' 원격 모니터링 개발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문제였는데 여기에 머신러닝이 크게 기여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연구결과를)
의학
적인 접근부터 시작해서 스포츠 과학이나 재활 치료 등에 많이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로저스 교수는 이날 기조 강연에서 이온음료 제조사인 게토레이(Gatorade)와 함께했던 연구를 소개하기도 했다.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복지부, 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성과 발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연변대와의 한
의학
연-연변대 국제 심포지엄이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
의학
연의 ‘2024 대표 연구성과교류회’와 연계해 진행하며 사전등록을 마친 현장 참석자의 경품 추첨 등 다양한 행사도 진행할 예정이다 ... ...
거즈·붕대 대신 전기자극으로 지혈…과다 월경에 적용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혈소판의 3분의 1을 저장한다. 이 치료법 개발에 참여한 재러드 휴스턴 미국 파인스타인
의학
연구소 연구원은 "응급실이나 수술실의 환자에게 출혈은 패혈증보다도 훨씬 더 빠른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며 출혈을 효율적으로 막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했다. 앞서 연구팀은 ... ...
의학
전문가들, 이태원 참사 때 ‘슬픔’, ‘공포’ 증가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사회과학 &
의학
’ 최신호에 실렸다. doi.org/10.1016/j.socscimed.2024.11727 ... ...
[IAC2024] 김정균 보령 대표 “우주정거장이 부동산?…투자자 이해도 높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전경. 패널 중 왼쪽에서 두번째가 김정균 보령 대표. 밀라노=김민수 기자 이른바 ‘우주
의학
’을 중심으로 미세중력 환경에서의 우주실험실을 구축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는 김 대표는 “우주에서의 미세중력 환경을 활용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에 대한 관심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며 “미국 ... ...
의료영상까지 휩쓴 AI…국내 솔루션에 해외 이목 집중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분야의 권위있는 학술단체인 플라이슈너 소사이어티의 회장인 구진모 서울대병원 영상
의학
과 교수는 "국내 의료 AI 산업은 불과 10년 정도만에 국제 무대에서 선두그룹을 차지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했다"며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선 R&D 투자를 위한 수익 창출 주기가 안정적으로 ... ...
의대생·전공의 "공부 동기 잃어…군의관 공백도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용납할 수 없는 정책이라고 밝혔다. 학생들이 집단휴학을 선택한 것에 대해서는 “
의학
교육의 질이 떨어지는 것을 보며 환자들과 국민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지 회의감이 들며 공부할 동기를 잃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공의 측에서는 군의관 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