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뉴스
"
진
"(으)로 총 8,560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성 당황케 한 메모리반도체 'HBM'…AI 구현에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기술적으로 구현이 어렵다. 제조 과정이 복잡하면 수율 확보도 어렵고 비용도 높아
진
다. HBM의 한계를 극복하고 성능을 높이기 위한 메모리반도체 기업들의 경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SK하이닉스는 기존 8단이었던 층수를 12단까지 높인 HBM을 올해 중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HBM은 GPU 바로 ... ...
1년 손해 보고도 전공의들이 복귀하지 않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과정은 큰 손실로 인지되지 않을 수 있다. 정부는 내년 전공의 자격 취득이 어려워
진
다는 논리 등으로 전공의 복귀를 요청하고 있지만 사태 해결을 위한 맥을 잘못 짚고 있는 건 아닌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
유도만능줄기세포서 정자·난자 전 세포 대량 배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사이토 미치노리 일본 교토대 교수 연구팀이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로부터 만들어
진
'원시생식세포'와 유사한 세포에 특정 단백질을 첨가해 정자나 난자가 되기 전 단계인 정원·난원세포로 대량 분화하는 것을 확인하고 20일 네이처에 논문을 발표했다. 원시생식세포란 생식소 내에 위치하기 ... ...
네이처 "1세 아기도 참여한 한국의 '기후 소송'에 전세계 관심"
2024.05.21
전세계 여러 국가에서 제기된 바 있다. 한국의 기후 소송에서 원고 측을 대리해 소송을
진
행하고 있는 윤세종 변호사는 "한국에서 원고 측에 유리한 판례가 나온다면 기후 소송을 제기하는 추세가 확산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모든 국가가 기후변화와 관련된 전 세계적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 ...
[人투더스페이스]⑩ "우주기업 수 턱없이 부족…우주청, 국방·안보도 아울러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기업도 충분히 우주 분야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항공산업에서 탄탄한 입지를 다
진
사천의 항공기업들이 향후 우주산업에 기여하는 사례는 앞으로 더욱 활발해질 것이다. ... ...
출범 일주일 앞둔 우주항공청 가보니…"뉴스페이스 시대 열겠다" 포부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경남 사천시 해안산업로에 위치한 우주항공청 임시청사. 도로를 끼고 사천만해와 마주보고 있다. 사천=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20일 경남 사천공항에서 해안 ... 우주항공청 임시청사에서 바라본 주차장. 뒤로는 새로운 아파트 단지 조성 공사가
진
행 중이다. 사천=박정연 기자 hesse@donga ... ...
빛을 들여다 보면 별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5.18
번에 많이 관측할 수 있는 K-SPEC 프로젝트는 아직
진
행 중입니다. 관측기기 개발이 다 끝나
진
않았지만 곧 개발을 끝내고 우리나라의 힘으로 좋은 과학 성과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5월 1일, [천문학자] 빛을 들여다 보면 별이 ... ...
사람 필요없다…전세계 자동화 실험실 AI로 통합해 레이저 신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5.18
과정은 IBS와 토론토대가 공동 개발한 클라우드 기반 AI 플랫폼이 감독했다. AI는 만들어
진
화합물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음에 합성할 물질을 결정했다. 연구팀은 이 과정이 "마치 교향곡 같았다"고 묘사했다. 또 연구의 가장 큰 장애물이 국제 배송 서비스 '페덱스(FedEx)'라고 밝혔다. 실험실 간에 ... ...
KAIST 대학원생 R&D예산 삭감으로 월 인건비 10만원 줄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5.17
"대학원생들이 생활비 측면에서 어려움을 호소해 왔고 R&D 삭감을 거치며 더 나빠
진
것은 맞지만 경제적 어려움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라며 "가장 치명적인 여파는 당장의 어려움이 아니라 이공계 커리어를 계속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이라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56세인 영 교수는 지난 3월 21일 일본 쓰쿠바에서 열린 학술대회 현장에서 심장마비로 쓰러
진
뒤 회복하지 못했다. 최근 수년 동안 래리 영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옥시토신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집중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의 못다 이룬 꿈을 후배 과학자들이 이뤄내길 바란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