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미니
뉴스
"
초소형
"(으)로 총 738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형 ‘양자컴퓨터’ 개발 성큼… 고성능 양자광원 개발
2016.10.18
18일 밝혔다. 양자점은 광자(빛의 입자)를 내뿜는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크기의
초소형
반도체다. 광자를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고, 연산을 처리하는 양자컴퓨터에는 양자점이 필수다. 일반적인 양자점은 광자가 불규칙하게 퍼져나가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광자점을 피라미드 형태로 만든다. ... ...
맛있는 사과 고르는 법, '과학'에게 물어보세요
2016.09.09
개발하고, 그 연구결과를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8일자에 발표했다. 이 장비는
초소형
카메라로 사과 껍질에 존재하는 엽록소의 농도를 측정한다. 사과가 익을수록 엽록소의 농도가 옅어진다는 점에 착안했다. 푸른색이나 붉은색 등 사과의 본래 색깔에 상관없이 측정할 수 있다. 크기는 ... ...
‘원자선’ 분야 석학… “1nm이하 무오류 반도체 개발 목표”
2016.09.08
염 교수의 연구 성과는 현재는 과학계에서 불가능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5nm 이하
초소형
반도체 개발의 가능성을 열어 가고 있다. 그는 “현재 10nm급 반도체도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약 5년 후면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는 5nm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며 “만일 1nm급 반도체가 등장한다면 전 세계 ... ...
온 몸이 문어처럼 움직인다고?
초소형
소프트 로봇 개발
2016.08.25
‘소프트 로봇’이 개발됐다. 제니퍼 루이스 미국 하버드대 교수팀은 문어 모양의
초소형
소프트 로봇인 ‘옥토봇(Octobot)’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25일자에 발표했다. 옥토봇은 살아있는 생물처럼 몸속에 액체와 기체가 흐르는 ‘미소유체논리회로’로 작동한다. 백금(Pt) 촉매로 ... ...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지구형 행성’ 찾았다
2016.08.25
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 영국 케임브리지대 명예교수는 올해 4월 ‘태양광을 이용한
초소형
우주 범선을 활용하면 프록시마 켄타우리 인근에 있는 별인 4.37광년 거리의 ‘알파 센타우리’까지 20년이면 도착할 수 있다’고 주장해 화제가 된 바 있다. 프록시마 b는 질량이 지구의 1.3배인 암석형 ... ...
“어른이 된 해바라기는 동쪽만 바라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8.07
샨타누 뎁나드 미국 매릴랜드대 교수팀은 재프로그래밍이 가능한 5큐비트짜리
초소형
양자 컴퓨터를 개발해 '네이처' 4일 자에 발표했다. 큐비트는 물질의 최소 단위인 양자 정보의 단위다. 기존 컴퓨터가 사용하는 단위인 비트는 0과 1 두 가지 상태로 정보를 나타내지만, 큐비트는 0과 1을 ... ...
혈관 속 약물 배달할 ‘짚신벌레 로봇’ 나왔다
2016.08.02
높은 사람의 혈액 속에서도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초소형
로봇이 개발됐다. 최홍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과 교수팀은 짚신벌레의 섬모운동을 모방해 점성이 높은 혈액 속에서도 빠르게 움직일 수있는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마이크로 로봇은 병든 세포를 ... ...
면역세포에 로봇 태워 암 세포 공격한다
2016.07.26
개발했다. 박석호(사진) 전남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머리카락 두께의 5분의 1 수준의
초소형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하고, 항암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대장, 유방, 위 등의 고형장기에 발생하는 암은 나노크기의 항암 약물을 이용해 치료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암환자는 ... ...
수중 드론 길 찾아 주는 ‘수중 GPS’의 세계
2016.07.15
피셸 박사는 “최근 마이크로전자기계시스템(MEMS)이 발달하면서 칩 크기 정도인
초소형
수신기를 만들 수 있게 됐다”며 “군집 드론이나 민간 드론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부장은 “성능 차이가 있어 정확하게 비교하긴 어렵지만 샌드샤크 제작비용이 와이샤크2의 ... ...
지구 주변 우주쓰레기 6300t…해결사 ‘청소 위성’ 뜬다
2016.07.15
끌고 오는 기술도 청소 위성에 적용할 계획이다. 김 팀장은 “길이 30㎝ 정도인
초소형
큐브샛이 청소 위성의 유력한 후보”라며 “지구 궤도를 도는 우주쓰레기의 위치를 추적한 뒤 접근하는 기술은 아직 국내에서는 개발되지 않은 만큼 지상 시험을 신중하게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